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가노이드, 로봇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교수님의 연구를 활용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연락드렸고, 무오트리 교수님이 그럼 전기 신호를 로봇에 연결해보는 건 어떻겠냐고 제안해 주셨죠. Q로봇을 만들면서 무엇이 가장 어려웠나요?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어떻게 걷는지 생각해볼 일이 없잖아요? 그런데 로봇을 걷게 만들려니 어떻게 균형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안보인다고 무시하지마! 공기의 힘을 보여주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조금씩 밀어내요. 또한 피닉스의 날개에는 태양 전지가 붙어 있어요. 여기서 나오는 전기로 공기 펌프를 작동시켜 몸체에 공기를 불어넣지요. 즉, 연료가 없어도 스스로 동력을 만들어 하늘에서 움직일 수 있는 거예요. 앤드류 래 교수는 “피닉스는 통신 위성을 저렴하게 대체하거나, 이동식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LED) 같은 발광소자는 내부 전자의 에너지값 차이를 이용해 빛을 낸다. 전자가 외부에서 전기나 빛에너지를 흡수해 바깥쪽 전자껍질로 이동했다가 다시 안쪽 전자껍질로 떨어질 때 에너지값 차이만큼 에너지가 방출되고 이는 빛에너지로 전환된다. 이때 빛의 색깔은 방출되는 에너지값에 따라 ... ...
- [일본유학일기] ‘고등학교 4학년’ 거쳐야 비로소 시작되는 전공생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보내준 교수님에게 연구실 방문 허가를 얻어 학교 수업이 끝나면 찾아갔다. 덕분에 전기과뿐만 아니라 건축학과, 물리공학과, 의학과 등 다양한 분야의 교수님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생겼다. 그리고 이렇게 모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후두암 수술 후 성대를 잃은 사람이 다시 말할 수 있도록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피부는 강철로 만들어졌다. 칼은 물론 총알도 가볍게 튕겨낸다. 단점이라면 제때 전기 충전을 안 하면 장기가 멈춰 목숨이 위험해진다는 것이다. 현재 일부 장기에 한해서는 기계로 된 인공장기가 개발돼 있다. 대표적인 예가 심장에서 수축과 팽창으로 최고혈압을 만들어 혈류를 순환시키는 ... ...
- [독일유학일기] 노래방 마니아를 사로잡은 부엉이 축제과학동아 l2020년 05호
- 3개 학과가 참가하는 아이스하키 대항전인 ‘우니컵(unicup)’이 있다. 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그리고 의예과가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르고, 점수가 높은 두 팀이 결승전에 진출해 우승팀을 가린다. 역사가 깊어 팀마다 마스코트도 있다.이 경기는 워낙 인기가 많아 표를 구매하기가 하늘에서 별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시라소니, 동물원 마스코트가 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연재를 위해 1월 9일, 청주동물원에 김정호 수의사를 만나러 갔습니다. 돌아다니다 보니, 전기 카트 앞에 그려진 스라소니 얼굴이 눈에 띄었지요. 왜 하필 스라소니일까요? 알고 보니 바로 지난해, 청주동물원에서 스라소니가 번식에 성공하며 마스코트 동물이 됐기 때문이래요. 청주동물원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카드뮴은 은백색의 금속으로, 칼로 자를 수 있을 만큼 부드러워 변형하기 쉽고, 전기전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물질과 혼합도 잘 돼 또 다른 장점을 보탠 화합물로 만들기도 쉽다. 그래서 이미 1800년대 미술가들은 카드뮴을 황화합물과 섞어 빨간색과 노란색 안료를 만들었고, 193 ... ...
- NASA 신입 우주인 공채, 스펙과 연봉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나선 역사적인 순간이 탄생한 것도 실은 ISS 부품이 고장났기 때문이었다. ISS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충·방전 장치(BCDUs)의 변환기를 차단하는 명령이 실행되지 않아 새 부품으로 교체해야 했다. 작업에는 총 7시간 17분이 걸렸다. 우주인들은 휴일도 없다. 2013년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ISS 내 ... ...
- [질문하면 답해 ZOOM] 땅에 떨어진 음식을 3초 안에 주워먹으면 괜찮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우리 눈에 보이는 이유는 빛을 반사하기 때문이에요. 물건에 반사된 빛이 눈에 들어와 전기 자극으로 바뀐 뒤, 시신경을 거쳐 뇌로 들어가야 그 물건을 볼 수 있거든요. 따라서 빛을 반사하지 않고 투과하는 물건은 눈에 잘 보이지 않고 투명해 보인답니다. 유리, 물, 비닐 랩 같은 물건들처럼 말이죠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