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학교
연대
연세대학
d라이브러리
"
연세대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20세기 초가 돼서야 그 존재가 확실히 드러난 외부은하는 그 모습에 따라 타원은하 나선은하 등으로 구별된다. 수백억재나 되는 은하들은 서로 어떤 관련을 맺고 있으며 어떤 진화과정을 거치는 것일까?흔히 외부은하라 불리는 은하들은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수(우리은하)를 제외한 모든 천체들 ... ...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어떤 성분이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킬 지는 알 수 없다. 자연화장품이 더 위험할 수도
연세대
피부과 박윤기교수는 "생약성분이 포함된 화장품을 바른 뒤 얼굴에 작은 물집이 생기고, 심하게 가려워 하는 환자를 발견해 학회에 보고한 바 있다"고 밝힌 뒤 "자연성분이라고 해서 무조건 선호하는 자세는 ... ...
정자(精子)전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정자는 최종결승점을 향해 경쟁적으로 질주한다. 마침내 하나의 정자가 난자의 외벽을 뚫고 나면…생명체란 살아있는 모든 것이라고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면 움직이고 변화에 반응하며 성장하고 생산(生產)이 가능한 존재다. 그러면 생명의 시작은 어디서부터일까. 이 문 ... ...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하지않고도 다른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신장이식전문의인
연세대
의대 박기일교수는 "신장기능은 25%만 살아있으면 인체에 해가 없다. 따라서 한쪽을 떼어낸다해도 50%가 남아있어 별문제가 없으며 게다가 신장은 왼쪽과 오른쪽이 서로 역할분담을 하고 있지 않고 나빠지게 ... ...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너무 키가 빨리 자라거나 더디게 자랄 때는 이 호르몬들의 혈중농도를 살펴야 한다."
연세대
의대 김덕희교수(소아과)의 말이다.영양학자들은 열량이 높은 음식보다 영양가가 많은 음식이 키를 크게 해줄 것이라고 얘기한다. 특히 단백질 함량이 높은 음식을 즐기기를 권하고 있다. 또 뼈의 주성분인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쌓아놓은 기본적 소양이 '귀인들'을 만나면서 활짝 피어나기 시작했다. 1976년 겨울
연세대
옥상에는 아마추어 망원경 전시회가 열렸다. 여기에 참가한 성인들은 고작해야 열명 내외였다. 망원경 할아버지 나은선씨를 비롯 김성수 윤실 윤태석 변상식씨 등 현재 아마추어천문가로 명성을 날리고 있는 ... ...
몸무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인데 일시적인 효과로 그칠 가능성이 크다.비만억제약도 요즘 시중에 많이 나돌고 있다.
연세대
의대 허갑범교수는 "약으로 쉽게 뺀 체중은 쉽게 늘 수 있다"고 얘기한 뒤 "급격한 체중감소는 여러 부작용을 초래 한다"고 덧붙였다.식욕억제제로 널리 쓰이는 암페타민 계통의 약은 중추신경을 ... ...
(4) 신설 전파공학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2년 수도권 7개대학에 전파공학과가 생겨났다.92학년도부터 고려대 광운대 경희대 아주대
연세대
한양대 홍익대 등 수도권 7개대학에 전파공학과가 새로이 생겨났다. 학부과정부터 전파를 특화해서 연구할 수 있도록 공과대학에 전파공학과를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정부차원에서 최초로 제기된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두 은하간의 충돌속도가 느리면 느릴수록 서로가 느끼는 충격은 커진다.밤하늘의 찬란한 별들을 보노라면 누구나 그 영롱한 아름다움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 모든 밤하늘의 천체들은 얼핏 보기에는 서로 떨어져 살고 있는 것 같지만 예외없이 우리 인간사회처럼 가족을 이루고 있다. ... ...
콜레스테롤의 정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20 정도 낮으므로 바람직한 수준은 1백80, 치료를 요하는 수치는 2백으로 봐야 한다."
연세대
의대 이웅구교수(심장내과)의 말이다. 어쨌든 한국인의 콜레스테롤 기준치는 마땅히 미국인의 그것보다 낮아야 한다는 것이 국내 의료계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채식에 오래도록 적응된 체질이나 식사습관을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