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흡수
새김질
소각
분멸
소거
제거
소화력
d라이브러리
"
소화
"(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요구르트가 비만을 막아 준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그리고 이 때 유산균이 쓸개즙의 기능을 약하게 만든다는 것도 알아 냈지요.쓸개즙은
소화
기관인 장이 지방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 준대요. 그래서 유산균을 먹으면 쓸개즙이 지방 흡수를 제대로 도와 주지 못해 전보다 몸 속에 지방이 적게 쌓이는 거랍니다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늘어나든가,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소장벽의 자율신경반사, 소장벽의 삼투압에 의해
소화
관으로 수분이 급속히 대량 이동하여 순환되는 혈액의 양이 감소하여 일어난다 자낭균(子囊菌)에 의한 식물병의 하나 한국의 경우 경기도 이남의 온난한 지방에서 종종 발생하는데, 7월 하순부터 8월 상순경에 ... ...
적신호 켜진 허리 건강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휘었다면 수술을 받아 척추를 곧게 펴줘야 한다. 휜 척추가 폐와 내장을 눌러 숨이 차고
소화
기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척추 사이의 디스크가 눌려 퇴행성 관절질환이 올 수도 있다.척추의 휜 정도가 10~20° 사이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건강에는 문제가 없다. 척추가 20~40° 정도 휜 ... ...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그것은 다름 아닌 장내 공생세균이다.본래 장내세균은 장이
소화
시키지 못하는 영양분을
소화
시킬 수 있는 물질로 전환시킴으로써 인간의 장항상성 유지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작용들이 비만이나 당뇨병과 같은 질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 ...
버섯과 곤충의 각별한 인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구름버섯이 썩힌 단풍나무에 알을 낳는다. 역시 버섯 균사가 분해한 나무는 애벌레가
소화
하기 쉬운 먹이가 된다. 버섯벌레, 거저리처럼 작은 딱정벌레는 아예 버섯 속에 들어가 집을 짓고 알을 낳기도 한다. 추운 겨울이 지나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버섯을 먹고 살다 가을에 성충이 된다. 이처럼 ... ...
당뇨병과 간질병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스트립이 간질병을 앓는 자식을 위해 케톤식이법을 발명하는 열혈 엄마의 역할을 훌륭히
소화
하기도 했다. 진피에 염색되는 문신마지막으로 백장미의 매력을 드러내는 문신을 살펴보자. 문신은 피부에 상처를 만들고 색소를 넣어 그림이나 문자를 새기는 것을 말한다. 이미 기원전 3000년 경 ... ...
무설탕도 지나치면 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물질이 1.25g 들어 있는데, 하루에 이 껌을 4개 이상 씹어서 솔비톨을 5g 넘게 섭취하면
소화
장애나 위경련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해요. 그리고 15개 이상 씹으면 장에 문제가 생겨 영양 결핍에 빠진다고합니다.실제로 연구팀이 관찰해 본 결과 하루에 최고 12번씩 설사를 한 환자는 무설탕 껌을 매일 15개나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궁금증 하나! 쥐는 제리처럼 정말 영리할까?실제로 쥐는 호기심이 뛰어나고 훈련을 잘
소화
해 내는 영리한 동물이다. 그래서 미로를 이용해 지능과 학습 능력을 실험하는 데 많이 이용된다. 미국의 생명과학자 챈스와 미드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굶주린 쥐를 먹이와 이상한 물건들이 가득 차 있는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밥의 주성분인 녹말을 물에 끓이거나 찌면 점도가 높아지고 색이 반투명하게 변하면서
소화
하기 쉽게‘호화’돼요. 호화된 녹말이 온도가 낮은 곳에서 수분을 빼앗기면 원래의 딱딱한 상태로 돌아가게 되는데, 이를‘노화’됐다고 하지요. 떡이 딱딱해지는 노화 현상은 냉장실의 온도인 0~5℃일 때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내놓았다. 현재 진핵세포의 몸체에 해당하는 어떤 생명체가 박테리아를 잡아먹었는데
소화
시키는 대신 세포안에서 함께 살며 오늘날 진핵세포로 진화했다는 시나리오다. 세포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이때 포획된 박테리아의 후손이다.마굴리스 교수는 공생 가설의 주인공으로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