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과"(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이 발견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에 물꼬가 트였다. 이후의 성과는 눈부시다. DNA 메틸화, 히스톤 꼬리 단백질이 밝혀졌고 질병치료에도 활용 중이다. 지난 20년간 후성유전학의 발전을 다음 파트에서 직접 만나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사진)를 e메일로 인터뷰했다. Q 연구 결과가 학술지 ‘해부 기록’에 실렸다. 연구의 성과는?A 시신의 다리 조각이 미라화되는 전 과정을 최초로 관찰했다. 고대 이집트의 방부 기술이 얼마나 과학적이었는지 가장 확실하게 밝힌 셈이다. 미라가 완성되기까지 총 7개월이 걸렸다. 역사학자 ...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비롯해 허블상수, 허블시간 등 곳곳에 이름이 붙어있다. 하지만 우주론의 거대한 성과를 이뤄내기 위해선 많은 덜 유명한 사람들의 노력이 모여야 했다. 뜨거운 팽창우주론 처음 밝힌 르메트르허블은 미국 윌슨산에 있는 천체 망원경으로 은하의 운동을 관찰하다가 1929년 은하의 빨강치우침 ... ...
- 여름에는 누구나 수학 성적이 떨어진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기온이 높아지면 일시적으로 수학 성적이 나빠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장기적인 학습 성과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경제 연구 조직인 ‘전미경제연구소’ 5월 보고서에 실렸습니다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아버지’ 찰스 카오다. 카오는 광섬유를 이용한, 빛의 전파와 관련한 획기적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2009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카오의 광섬유 연구는 그 시작이 196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60년부터 영국의 표준원거리통신연구소에서 일하던 카오는 마이크로파와 빛의 전파에 대해 연구하고 ...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코리안 특급 박찬호를 필두로 추신수, 스즈키 이치로 같은 아시아 선수들이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기 시작하자 아시아에서 날고 긴다는 타자들이 여럿 MLB에 도전했다. 일본과 미국, 양쪽에서 250타석 이상 들어선 타자만 해도 모두 열두 명이다. 일본프로야구(NPB) 시절과 비교했을 때 이들의 성적은 ... ...
- [터미네이터는 없다] INTRO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지으며, 기자와 의사의 자리까지 넘보고 있다. 이렇게 연일 터져 나오는 놀라운 연구 성과는 인공지능 유토피아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불러왔다. 그리고 동시에, 영화 '터미네이터' 같은 디스토피아가 오지는 않을까 하는 두려움을 증폭시켰다. 이제 눈 앞의 거품을 치워보자. 실제 인공지능 연구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조사해 체스를 두는 컴퓨터인데, 훗날(1997년) 세계는 체스‘만’ 둘 줄 알았다. 어쨌든 성과가 나오기 시작하자, 인공지능 연구에 다시 불이 붙었다. 특히 ‘전문가 시스템’이 급부상하면서 견인차 역할을 했다. 전문가 시스템은 인간이 특정분야에 대해 가진 전문적인 지식을 컴퓨터에 이식해,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논의는 인공지능이나 뇌과학, 양자컴퓨터, 로봇공학이 수많은 세금을 낭비하면서 성과를 못 내고 있다는 의미가 아니다. 악한 의도를 가진 기계가 나타나 인간을 멸종시킬 것이라는, 지금으로서는 뜬구름 잡기에 불과한 걱정을 앞세워 인공지능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을 포기하기엔 너무 ...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스티커처럼 어디에나 붙일 수 있으면서도, 해상도가 최신 스마트폰보다 최대 7배 뛰어난 신개념 디스플레이가 개발됐다. 현택환 기초과학연구 ... 피부에 붙여 사용하는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성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5월 14일자에 실렸다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