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대"(으)로 총 4,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안정화 헬륨-네온 레이저는 전 세계에서 길이의 표준기로 쓰고 있는 레이저로, 주파수의 상대 안정도가 10-11에 달한다. 따라서 가장 높은 정확도로 길이를 재고 싶다면, 측정대상물의 길이가 이 레이저 파장의 몇 배인지를 헤아리면 된다. 이러한 안정된 레이저의 파장은 ‘광빗(optical comb)’ 으로 ... ...
- In My Life 누가 작곡했을까?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연구하는 통계학자예요. 온라인 게임에서 토너먼트를 할 때 비슷한 수준의 상대끼리 맞붙을 수 있도록 대진표를 짤 때 쓰이는 ‘글릭코 등급 시스템’을 개발했어요. 글릭코 등급 시스템은 체스 토너먼트 경기를 위해 만든 시스템이지만, 온라인 게임에서 더 많이 쓰고 있어요.비틀즈 음악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강팀 이겨야 유리한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점수가 조금 오르고, 반대로 질 것 같은 팀이 이기면 점수가 많이 오르는 것입니다. 상대적인 실력 차이를 점수에 반영한 것이죠. 독일 이긴 우리나라 왜 아직도 57위? 그런데 FIFA는 왜 갑자기 순위 산정 시스템을 바꾼 걸까요? 2018년 5월호에 소개했던 것처럼 FIFA 랭킹은 1993년 처음 도입된 이래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뉴턴의 양동이 사고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법칙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하지만한편에서는 상대성 이론을 이해하려면 물체의 상대적인 관계에만 주목해야 해요.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여러분은 절대공간이 있다고 믿나요? 그렇다면 우리는 절대공간에서 빙글빙글 회전할 수 있을까요? 또, 그때 우리의 옷은 활짝 펼쳐질까요 ...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국가와 비교해 영토가 비교적 작거나 활동 범위가 제한적이다. 그래서 NAVIC과 준텐초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위성을 고도 약 3만5000km에 띄워, 원하는 지역에 위성을 머물게 하는 ‘지역 위성항법시스템(RNSS)’에 해당한다. 위성항법은 기본적으로 1970년대에 완성된 기술이며, 개발에 10년 이상 긴 ... ...
- [Issue] 중국 유학을 꿈꾸는 학생들에게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중국 대학에서는 영어 강의가 보편화돼 있지 않다. 게다가 중국 대학은 한국 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과목을 이수도록 하고 있어 마치 고등학교를 다니는 게 아닌가하는 착각이 들 정도다.두 번째 문제는 학생들이 진로를 계획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대학 생활을 하면서 부모와 ... ...
- [Origin] 인간을 지키는 방패, 오존층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예상 못한 오존홀 발견북극은 어떨까요. 북극에서는 남극과는 달리 소용돌이 기류가 상대적으로 약해 성층권의 온도가 떨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북극 성층권에서는 지금까지 오존층 파괴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2011년, 북극에서 전혀 예상치 못했던 오존홀이 관측돼 많은 ... ...
- Intro 2. SF 속 우주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원시 시대로 돌아갈지도 모른다는 우려다. SF 소설이나 영화에서는 적대적인 외계인을 상대하기 위해 강력한 무기를 개발하곤 한다. 그런데 역사적으로도 그렇고, 아직도 전쟁이 멈추지 않는 현실을 보면, 인간은 우주에 진출한 뒤에도 서로 싸울 가능성이 크다. 정작 외계인은 지구에 관심도 없을지 ... ...
- Part 1. 하늘을 담은 유리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마리의 새가 유리창과 충돌해 죽고 있고, 캐나다에선 수천만 마리의 새가 죽고 있어요. 상대적으로 땅이 작고 새의 수가 적은 편인 우리나라에서도 1년에 수십~수백만 마리의 새들이 유리창에 부딪혀 죽고 있다고 추정된답니다.새의 유리창 충돌을 막기 위해 노력중인 국립생태원 이수길 과장은 ... ...
- Part 3. ‘대한민국 우주군’ 창설되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우주력’은 그 국가의 브랜드라고 볼 수 있다. 우주력이 높으면 상대국가에서 함부로 도발하지 못할 것이므로 평화를 유지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평화를 사랑하는 자, 전쟁을 준비하라’는 말이 있다. 다가오는 미래에는 우주공간 활용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