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시"(으)로 총 1,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두근두근 새학기 시작! 그리운 옛 친구, 반가운 새 친구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수도 있어. 그럴 경우에는 벤다이어그램을 겹쳐 그린 뒤에 겹치는 부분에 양쪽 집합에 동시에 들어가는 사람을 넣으면 돼. 이 때 겹치는 부분의 집합을 ‘교집합’이라고 해. 축구를 좋아하는 사람의 집합과 춤을 좋아하는 사람의 집합의 교집합에는 춤과 축구를 둘 다 좋아하는 사람이 들어 있는 ...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없다. 좁은 지역을 정확하게 촬영하기 위해서 위성은 가로, 세로, 높이 세 축을 조절하는 동시에 세 축으로 움직이는 센서의 방향까지 정밀하게 조정해야 한다.이런 노력의 결과일까. 고고학에서는 구글지도를 새로운 연구수단으로 이미 인정하고 있는 분위기다. 요즘 고고학 연구는 실제 탐사현장이 ... ...
- 일상에서 출발해 큰 무대 누비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각광받고 있다고 한다. 한 면에 온돌을 설치하면 서로 다른 층의 바닥과 천장에 동시에 적용되기 때문에 저온수난방, 고온수냉방이 가능해진다. 즉 온도를 급격하게 올리거나 낮추지 않아도 적당한 실온을 유지할 수 있다. 최근에는 초고층 빌딩에 온돌을 적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 ...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0년 03호
- 했다. 앞서 2002년에는 캐나다 앨버타대 연구진이 고양이 뇌에 전극을 꽂아 모터를 작동시켜 ‘생각으로’ 기계와 근육을 움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처음으로 열었다. 최근에는 직접 뇌에 전극을 연결하지 않고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이나 뇌파(EEG)를 통해 뇌의 명령을 읽어 들이는 기술도 ... ...
-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의학적으로 밝혀져야 효과가 있다고 본다”며“기능성 게임의 신체적, 정신적 효과를 동시에 검증하려면 간호학과나 노인복지학과와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최근 불어닥친‘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도 기능성 게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SNS의 대표격인 ... ...
- 복잡한 실험 분석은 내게 맡겨라 멘토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따로 설치할 필요도 없다.멘토는 30가지가 넘는 센서를 제공하며 한 번에 4개 센서로 동시 측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온도와 기압, 조도, 습도 센서를 사용해 고도에 따라 달라지는 값을 측정하면 등산의 과학적 원리를 알아볼 수 있다. 또 측정시간을 분 단위로 설정하면 시시각각 바뀌는 실험값을 ...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나오고 있다.우리나라에서도 무수히 많은 아이디어들 이 특허로 등록돼 있다. 필기와 동시에 핵심부분에 표시형 테이프인 플래그를 부착할 수 있도록 고안된 플래그펜(등록특허10-0871941)과 펜촉 잉크가 마르지 않아 매번 뚜껑을 열고 닫을 필요가 없는 형광펜(등록특허10-0649611)이 대표적이다. ... ...
- 아바타 열풍! 지금은 3D 시대수학동아 l2010년 03호
- 3DTV는 편광 물체를 이용한 영화와는 달리 ‘시간분할방식’기술을 사용하고 있어요. 동시에 두 화면을 빠르게 번갈아가며 비추는 방식으로, 안경을 통해 빠르게 번갈아 비추는 화면이 각 눈에 전달돼 입체로 보여요. 시간분할방식 TV는 2D와 3D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직은 안경 ... ...
- [수학 통조림] 천만 가지 문자의 얼굴을 벗겨라!수학동아 l2010년 02호
- 문제 해결 방법은 미지수인 문자를 사용합니다. 두 양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하는 동시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쉽고 빠른 길이죠.추상화 과정의 도우미*피보나치 수열 : 이전의 두 항을 더한 값이 항을 이루는 수 배열. 예) 1, 1, 2, 3, 5, 8, 13, 21, …단순한 계산을 벗어나 문자와 기호를 사용해 방정식을 ... ...
- 나타났다 사라지는 마술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눈으로 본 장면인 셈이다.영화를 상영할 때는 이렇게 따로 촬영한 두 필름을 편광으로 동시에 비춘다. 그래서 우리가 입체 안경을 벗고 보면 겹쳐진 듯한 흐릿한 영상이 된다. 이 때 입체 안경에 편광 필름을 붙여서 왼쪽눈은 왼쪽 눈으로 본 장면을, 오른쪽 눈은 오른쪽 눈으로 본 장면만을 볼 수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