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착"(으)로 총 2,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진다. E-XFEL의 시작은 독일 전자싱크로트론연구소(DESY)다. 여기서 쏜 전자가 E-XFEL에 도착한다. DESY는 1세대 방사광가속기가 있는 독일의 유서 깊은 연구소로, E-XFEL보다 북쪽에 위치해 있다. 길게 이어진 가속관은 4세대 방사광가속기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다. 3세대 방사광가속기에도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7’에는 한국 최초 우주인인 이소연 박사가 포함됐다. 2008년 4월 11일 ISS에 도착한 이 박사는 초파리 유전자 실험, 추적 망원경, 기초과학실험 등 21종의 과학실험을 수행하며 11일간 ISS에 머물렀다. 가장 최근에는 2017년 12월 ‘익스피디션 54’가 ISS에 올라갔다. 2018년에는 ‘익스피디션 59’까지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관련해 달 표면에 우주기지를 건설한다는 계획도 검토 중이다. 우주기지는 달 정거장에 도착한 발사체나 우주인이 쉬어가는 장소이자 새로운 연료를 공급 받는 주유소가 된다. 물, 산소와 같은 달 현지 자원을 연료로 바꾸는 기술, 이 연료를 수급하는 기술 등이 이미 연구 중에 있다. 중력 덕분에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 로봇으로 미션을 수행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찍어놓으면 직진을 하지요. 길목마다 올바른 색의 점을 찍자 코딩펫이 무사히 목적지에 도착했어요! 두 가지 미션을 모두 성공한 참가자들은 수료증과 코딩펫을 비롯한 푸짐한 선물을 받았답니다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아일랜드’에 다녀왔어요. 헬로키티 생일파티는 처음이라 정말 설렜어요. 남산타워에 도착해서 기자단 친구들과 함께 ‘쎈토이 뮤지엄’을 먼저 관람했어요. 만화 속 캐릭터의 모습을 따라 하면서 사진을 찍었어요. 전망대에 올라가 망원경으로 서울의 구석구석을 한참이나 구경하기도 했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꿈을 위한 소중한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만든 태양광 자동차로 경주에 참가하지요. 모형 태양광 자동차를 대회 트랙에 세워놓고, 도착 지점까지 가장 먼저 보내는 팀이 승리해요. 4개 팀이 1개 조로 묶이고, 팀당 2번씩 시합에 참여할 수 있어요. 이렇게 경주까지 마치면 디자인 점수를 합산해 최종 우승자를 선발해요. 태양광 에너지는 태양 ... ...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올려 채굴을 할 소행성까지 보내는 게 첫 번째 목표랍니다. 프로스펙터-1은 소행성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물이 존재하는지 조사하게 돼요. 우주에서 물은 훌륭한 연료이기 때문이지요. 물을 전기분해하면 산소와 수소가 되는데,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거든요. 또한 물을 수증기로 만들어 추진력을 ... ...
- [가상인터뷰] 카시니 호, 토성에서 최후를 맞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ESA)이 함께 저를 만들었지요. 1997년에 지구를 출발해 7년 만인 2004년에 이곳 토성에 도착했답니다. 사실 지구에서 출발할 때는 착륙선인 하위헌스와 함께 출발했어요. 그래서 ‘카시니-하위헌스 호’라 불렸지요. 그러다 2005년, 하위헌스가 토양의 위성인 타이탄에 따로 착륙한 뒤론 저 혼자 토성 ... ...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조사하면 태양계가 생겨날 때 어떤 일이 있었는지 추측할 수 있죠. 2025년에 소행성대에 도착한 뒤, 2027년~2033년까지 목성 트로이군의 소행성을 관찰할 예정이랍니다. 2023년에 발사 예정인 프시케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무거운 소행성으로 알려진 ‘16 프시케’를 탐사하는 것이 목표예요. 대부분 철과 ... ...
- 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초속 6~8km, S파는 초속 3~4km로 속도 차이가 나기 때문이지요. 한편 인공지진은 강한 P파가 도착한 뒤, S파의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에요. 폭발로 인해 인공지진이 생긴 경우, 폭발하는 순간의 압력 때문에 P파가 만들어지지만 땅을 위아래로 흔드는 힘은 생기지 않거든요. 이번에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