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호주엔 원래 토끼가 없었다? 생물보안의 중요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파괴적인 결과를 불러일으켰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조엘 알베스(옥스포드대학교 고고학과 박사 후 연구원) “생물보안은 우리 모두의 일” Q생물보안이 무엇인가요?호주 전역에 퍼진 토끼 사례처럼, 외부에서 새로운 생물이 들어오면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불러 일으킬 수 있어요. ... ...
- [People] 15년 연구 덕질의 성과! n차원 별자리 정리 증명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유명한 기타노고등학교에 들어갔고, 거기서도 수학은 항상 1등을 해서 일본 교토대학교 수학과에 입학했지요. Q. 수학 공부를 혼자 하는 편인가요? A. 아니요. 평소에 사교적이고, 말을 많이 하는 편이라서 수학 문제나 풀이를 가르쳐주는 걸 좋아해요. 공동연구도 제 성격이랑 잘 맞아요. 연구할 ... ...
- [인터뷰] 필즈상 허준이 교수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합니다.” 수학의 본질은 논리 아닌 창의 Q ─ 학창시절 수학을 좋아해서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에 진학했나. 어릴 적 가정형편이 어려웠다. 나보다 어린 학생들을 가르치며 학비를 벌어야 했다. 조각가인 외삼촌과 함께 살아서 그림을 자주 그리고 이것저것 만들면서 예술가를 꿈꿨다. 그런데 ... ...
- [뉴스&인터뷰]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더라도 우리가 소설을 쓸 이유는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가서 돈을 버는 미래와, 좋아하는 문학이나 철학을 하는 나 사이의 고뇌다. 지금은 대학에 가서 공학과 철학을 복수전공하면서, 계속 소설을 쓰는 미래를 그린다. 내게 더 중요한 건 소설 쪽이다. Q. 자아에 대한 고민이 ‘나의 채티에게’에 고스란히 드러났다.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착안했나 ...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는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국민 약 1800만 명이 사용하는 수준의 에너지 양입니다. 인하대학교 KIURI 연구단 조현석 연구교수는 “수소는 일반적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얻지만, 태양광 집열판(CSP)를 활용해 1500℃ 이상 환경에서는 촉매를 통한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수증기에서 수소를 얻을 수 ... ...
- [4컷 만화] 필름 붙이자 한겨울에도 식물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광합성에 쓰이지 않는 자외선 같은 짧은 파장도 포함되어 있어요. 일본 홋카이도대학교 화학반응설계및발견연구소 연구팀은 자외선 파장을 광합성에 쓰이는 빨간빛으로 늘릴 수 있는 파장 변환 물질(WCM)을 사용하면, 식물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지요.연구팀은 옛날 TV에 사용되기도 한 ... ...
- [특집] 수학계가 주목한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또 한 번 들끓었다. 반면 세계적인 정수론 전문가인 앤드루 그랜빌 캐나다 몬트리올대학교 교수는 에 “실제로 논문에서 몇 가지 실수가 발견됐지만 당장 수정할 수 있어 좋은 학술지에 게재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수학계가 주목한 이유는? 수학자가 논문을 발표하는 건 ... ...
- [DATA MATH] DART 팀 구성원과 수학자의 역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분화구들을 연구합니다. 학생들을 지도하고 프로젝트를 함께하기도 하지요. Q ─ 대학원 때 소행성 이외에도 약물 중독을 연구했는데, 이 연구에 관해 설명해 주세요. 약물 중독 환자를 총 다섯 가지 그룹으로 분류한 뒤 각 그룹의 변화를 알아봤어요. 예를 들어서 약물에 중독된 사람, 이를 ... ...
- 킹앤카 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문제를 내 줄 사람은 과연 누구일까요? 바로 얼마 전까지 여러분과 같은 고민을 했던 대학생 선배일 겁니다. 2023년 킹앤카에서는 KAIST 수학문제연구회(수문연) 회원들이 중·고등학교 때 좋아했거나 어려워했던 개념들을 소개하고, 수학적 사고력을 높일 수 있는 문제를 제공합니다. 이번 호에는 어떤 ... ...
- [과동키즈] 삼국지 매니아가 철도 계획가로… “저는 성덕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위치, 사람들의 주요 거주지 등도 교통을 계획할 때 알아야 하는 중요한 요소다. 대학원에선 이 모든 것을 고려해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수송하려는 통행 수요가 언제, 어디서, 얼마나 발생할지, 어떻게 도로와 철도, 공항과 항만 등의 교통 인프라를 적정한 수준으로 공급할 수 있을지 예측하는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