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전"(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제안한 실험을 진짜 우주에서?!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천체 망원경 실습 등이 운영된다.한국천문연구원과 엑스포 과학공원, 국립중앙과학관 등 대전에 있는 첨단 시설을 이용해 천문 우주과학을 즐겨 보자.신청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홈페이지(www.kaas.or.kr)에서 한다. 11월 26(토)~27일(일)까지 열리는 17기 캠프의 참가자를 캠프 시작 전까지 모집한다. ... ...
- 건전지 없이 라디오를 듣는다고? 광석라디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어떨까?광석라디오는 놀랍게도 전원이 없어도 전파를 수신해 들을 수 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군인들이 주변에 이용할 수 있는 재료를 모아 간단히 만들어서 ‘참호 라디오’라는 별명이 붙었다. 전원 없이 라디오를 들을 수 있다는 점이 신기해 보이지만, 사실 옛날에는 흔히 볼 수 있었다. 전지 ...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인류는 다공성 막을 통한 확산을 역사적으로 어디에 처음 응용했을까? 제 2차 세계 대전 중에 원자 폭탄을 만들기 위해 방사성 동위 원소 235U가 풍부한 우라늄이 필요했다. 천연 우라늄에는 235U가 단 0.7% 만 존재하고, 나머지 99.3%의 우라늄은 238U로 존재한다(235와 238은 질량수를 의미한다). 235U의 ... ...
-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과학동아 l2011년 10호
- 과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전쟁이 좋은 예다. 연구진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과학자들이 원자폭탄 개발과 같은 국방산업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또 과학자들은 그 시대에 긴급하거나 중요하다고 꼽히는 문제에 대해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예를 들어 201 ... ...
- Part 2. 숫자의 마법, 진짜 유망주 찾는 통계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임명한 뒤 2004년 86년 만에 우승했다. 이전에 마지막으로 우승한 1918년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났던 해다.] [2007년 KIA 타이거즈의 3루수 이현곤은 타격왕을 차지했지만 최고의 3루수에게 수여되는 골든글러브는 두산 베어스의 김동주 선수가 받았다. 타율은 선수의 많은 것을 보여주지만, 모두를 ...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인증을 받을 수 있어서 좋아.” 사례 2 “특기를 살려서 로봇공학을 전공하고 싶어요” 대전 M중학교 2학년 P학생 “컴퓨터를 좋아하는구나. 프로그래밍을 할 때는 무슨 프로그램을 쓰니?” “C언어를 써서 프로그래밍을 해요.” “꿈은 뭐야?” “로봇공학을 하고 싶어요.” P학생은 어린 나이인데도 ... ...
-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밖에 떨어져 있지만 차로 한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KTX를 이용해 서울에서 대전까지 갈 수 있는 시간 동안 고작 10km 가는 데 그쳤다.시간의 흐름이 느려서일까. 사람들도 느긋하다. 다음날 날이 밝자 길거리 곳곳에 사람들이 태평하게 앉아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한국에선 출근과 ... ...
- 최종병기 天弓과학동아 l2011년 10호
- 계획했다.5년의 연구 끝에 개발한 ‘천궁’은 기존의 호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대전자전 능력, 빠른 미사일의 속도, 정확한 명중률을 두루 갖췄다. 하나의 레이더로 여러 표적을 한꺼번에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작전 준비 시간이 짧고, 적은 인원으로도 운용할 수 있다.➊ 천궁의 ...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채집했던 사례를 지난 4월호에 게재했다. 이 번호에는 올해 6월, 7월, 8월 세 차례에 걸쳐 대전, 서울, 강릉에서 기상청 주최로 열렸던 기후변화 심포지엄에서 필자가 발표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기후 변화에 따른 곤충 생태계의 변화’가 주제이며 주요한 사례는 국립공원 치악산 조사에서 ...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8월 11일, 침팬지의 게놈 신분증을 만든 과학자가 대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듣고 연구원으로 달려갔다. 주인공은 박홍석 유전체자원센터 (GRC) 센터장. 연구동 건물 1층 복도에는 삽살개, 돼지부터 김치 속 미생물 사진까지 쭉 걸려있었다. 곧 박 센터장에게 게놈 신분증을 받을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