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각도를 더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원의 회전 대칭의 중요성은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단위원군 T는 수학에서 흔히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현합니다: 이 군들은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특히 SO(2,ℝ)이라는 특수직교군은 물리학, 특히 원자의 세계가 어떻게 ... ...
-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법노트] 모으고 가르다 보면 더하고 빼기가 쉬워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회에 걸쳐 소개한 ‘두 번 받아올림, 받아내림’ 시리즈가 드디어 끝이 났어요. 서울교대 초등수학 연구팀에 따르면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을 잘 하는 비법은 ‘수 모으고 가르기’ 활동이에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지금 바로 알려드릴게요. 많은 친구가 왼쪽 뺄셈이 더 쉽다고 생각할 거예요. ... ...
- [몬스터를 잡아라!] 똑 닮았다! 합동, 대응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놀이북 21쪽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 몬스터의 숲 곳곳엔 M 몬스터가 살고 있어요. 우리의 목표는 게임 퀴즈를 풀고 몬스터 도감을 완성하는 거예 ... 쳐다보고 있어요. 대응 몬스터는 서로 짝꿍을 찾았다는 걸 동네방네 알리려는지 손가락 끝을 맞대고 있네요. 몬스터를 잡으러 떠나볼까요 ... ...
- [가상인터뷰] 올가미를 만들어 나무를 오르는 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생각한 거야. 그런데 우리는 몸으로 ‘올가미’를 만들었어. 몸을 기둥에 감고 꼬리 끝을 몸에 감아서 매듭을 만들면 더 굵은 기둥도 올라갈 수 있지.연구에 참여한 미국 신시내티대학교의 브루스 제인 교수는 “40년 동안 뱀의 움직임을 연구했지만, 이번에 발견한 방식은 완전히 새롭다”고 밝혔어 ...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커플을 무리와 따로 격리하면 바로 둥지를 짓고 알을 낳기도 한다. 하 연구원의 설명이 끝나기가 무섭게 번식장 속 황새 한 쌍이 서로 목을 비비며 애정행각을 시작했다. ‘닭살커플’이 따로 없는 모습을 보다 보니 괜히 민망해져 다음 장소로 걸음을 옮겼다.예산황새공원에서 가장 기구한 연애사를 ...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학교 생물 시험은 상대적으로 쉽게 느껴졌다.테니스, 미식축구, 양식학… 방황의 끝에 수의사가 되다수의학에 대해 처음 알게 된 것도 과학동아에서였다. 찌는 듯이 더웠던 중학교 2학년 여름방학, 미지근한 방바닥에 엎드려 잡지를 읽고 있었다. 그때 서울대 수의대 학생이 수의학을 소개하는 ...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파리를 구해와 통에 넣어 주었더니, 아주 잘 먹더라고요. 이후 매일 학원 수업이 끝나면 애벌레가 먹을 제비꽃 이파리를 구해왔어요. Q애벌레가 나비가 되는 과정을 지켜봤다고요?!맞아요. 놀랍게도 애벌레가 번데기, 나비가 된 뒤 짝짓기를 해서 알을 낳는 것까지 관찰할 수 있었어요. 일곱 마리의 ... ...
- 폴리매스 정보통! 모두가 푹 빠진 폴리매스미궁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모드를 해결한 사람은 여전히 7명뿐! 수학을 좋아하는 친구를 위한 ‘수학자 모드’를 끝까지 해결한 사람은 7명뿐이야(2021년 1월 18일 기준). 마지막 5문제는 최수영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장님과 신희성 인하대학교 수학과 교수님께서 출제한 문제거든. 교수님들도 문제를 내면서 친구들이 ... ...
- [코로나19 업데이트] 전파 빠른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아미노산이 프롤린(P)에서 히스티딘(H)으로 바뀐 변이다. 이 아미노산은 스파이크 단백질 끝 부분에 위치하지는 않았지만, 바이러스 침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른 부위에 위치해 요주의 변이로 꼽힌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스파이크 단백질과 ACE2 단백질의 결합 이후 인체세포 표면의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결코 힘들지 않다. 동아리 친구들과 KAIST 옆 한밭수목원으로 소풍을 가거나 연습이 끝나고 야식을 시켜먹었던 경험은 특히 행복했다. 예전보다 학내 동아리의 수는 더 늘어나고 다양해졌지만, 동아리를 통해 얻는 즐거움은 예나 지금이나 같지 않을까.딸기파티도 빼놓을 수 없는 경험이다.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