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4호
전 류흥진 연구원이 온라인 강연 중 내 주신 과제였지요. 류흥진 연구원은 대원들의
그림
을 보며 사람의 팔과 닮은 박쥐의 날개 구조에 대해 설명했어요.“박쥐는 어깨뼈가 상완골(위팔)과 척골(아래팔)로 이뤄져 있고, 끝에 손가락 뼈가 다섯 개 있어요. 움켜쥐듯이 손가락 뼈를 움직여 먹이를 ... ...
[썰렁홈즈] 수영강사, 어푸스 헤엄치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달걀에 갑옷 입히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웅하! 갑자기 여름이 찾아왔소! 올해 더위가 심할 거라는데 하루가 다르게 점점 더워지는 날씨를 보면 벌써부터 밤잠 설칠 생각에 무섭소. 이렇게 더울 땐 시원한 집에서 짜릿한 과학 영상을 보는 게 최고이지 않겠소? 얼마 전, 달걀을 떨어뜨리는 바람에 바닥이 엉망이 됐던 적이 있어요. 이런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누가 요즘 손으로
그림
을 그려? 드로잉머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표현하는 기계 장치를 언급했지요.그뒤로 예술가와 과학자들은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그림
을 그릴 때 수고를 덜기 위해 드로잉머신을 개발해 왔어요.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 수학자 휴 블랙번이 처음 개발했다고 알려진 ‘하모노그래프’는 1890년대에 큰 인기를 끌었어요. 줄의 끝에 달린 무게추가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개로 보이기도 하지요. 먼저
그림
을 요리조리 보며 착시를 체험해 보세요. 그런 다음
그림
아래의 설명을 보면 왜 착시가 일어나는지 이해할 수 있어요.색 착시를 일으키는 ‘벤함의 팽이’도 있어요. 팽이의 원판에 흰색과 검정색 도형으로만 이뤄진 종이를 끼우고 손가락으로 힘껏 돌려보세요.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패트릭 트로이타르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자연과학박물관 연구원은 시민천문학자의
그림
을 토대로 계산한 피치 각과 실제 피치 각을 비교해봤습니다. 또 인공지능 알고리듬이 자동으로 나선팔을 인식해서 피치 각을 계산한 결과와도 대조했습니다.그 결과 인공지능으로 계산한 것보다 사람이 그린 ... ...
[수학뉴스] 숫자로 본 고갱과 르누아르 풍경화의 공통점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그런 다음
그림
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나누는 알고리듬으로 작품을 분석했습니다. 특히
그림
을 나눌 때 각각의 길이를 a, b라 하고, a+b로 a를 나눈 값을 ‘화면 분할 비율’로 정의했습니다. 분석 결과 전체 작품의 화면 분할 비율은 시대별로 비슷한 값을 나타냈습니다. 17세기에는 수평선의 위치가 ... ...
[기획] 폴리매스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람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회원과 우수기사상을 가장 많이 받은 최나윤 회원입니다. 박 회원은 기사에 필요한
그림
을 직접 그린 점이 인상 깊었으며, 최 회원은 9월에 진행한 ‘실시간 데이터 요리쇼’에 참여한 뒤 곧바로 기사를 작성해 올려 행사에 참여하지 못한 독자들의 아쉬움을 달래줬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기사 ...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역시 한 갈래로 뻗어가다가 두 갈래로 갈라지는 구조가 반복되는 프랙털이랍니다. 95쪽
그림
을 보며 직접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을 만들어볼까요? 먼저 정삼각형 하나를 그리세요. 그리고 정삼각형의 세 변의 중점을 이어 작은 정삼각형을 만든 다음 새로 그려진 정삼각형을 제거해주세요. 2단계와 ... ...
[퍼즐라이프] 해법 없이도 해결! 루빅스 큐브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공식이 만들어집니다. 이 공식을 처음 상태의 섞이지 않은 루빅스 큐브에 적용하면
그림
②처럼 세 조각의 위치만 바뀌게 됩니다. 이 공식의 역공식인 DFR′F′RD′R′FRF′을 적용하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옵니다. 원하는 위치의 큐브 조각을 바꾸는 공식을 찾으려면 여러 가지 공식을 만들고 실제로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