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궤도"(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서 쓰레기 청소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지구 궤도를 도는 우주쓰레기들이에요. 우주쓰레기는 1초당 7~11km로 날아다니는데, 지구 궤도를 돌다보면 인공위성에 부딪칠 위험도 크지요. 두 기업은 2016년까지 호주 서부의 사막에 우주쓰레기를 추적하고 감시하는 기지를 세울 예정이에요. 전문가들은 우선 망원경과 레이저를 이용해 집채만 한 ... ...
- 방학엔 외국여행? 우리는 우주여행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숙박을 하려면 국제우주정거장을 이용해야 했고 말이야. 물론 미래를 내다보고 달궤도여행, 달표면여행, 화성여행까지 다양한 우주여행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도 있었단다. 우주여행을 꿈꾸며 도전하고 싶지 않니? 친구들이 꿈을 갖고 도전해야 쩝쩝박사처럼 1000만 원으로 우주여행을 할 수 있는 ... ...
- 달 연구 전문가 ‘지구가 더조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달 토양을 채취하고, 레이저 반사판, 지진계 등을 설치했다. 착륙선을 다시 발사해 달 궤도에 있던 우주선과 도킹한 다음, 우주선을 타고 지구로 돌아왔다.“대기권을 통과할 때 온도가 3000℃일세. 행운을 비네.”다시 가져다 놓아라~!“하하하, 자네 덕분에 1969년에 인류가 달에 진짜로 갔다 왔다는 ... ...
-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1960년부터 1999년까지 42건의 임무 중 성공한 게 16건밖에 안 된다. 착륙도 아니고 궤도진입인데 말이다. 오죽하면 “화성에 사는 거대 괴물이 탐사선을 잡아먹는다”는 ‘웃픈 농담’도 회자됐을까(1997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첫 시도에서 혜성표면에 착륙한 로제타 탐사선은 매우 성공적으로 ... ...
- PART2. 핵융합의 원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에너지가 크면 그 원소는 과잉 질량을 지닌다. 그러면 마치 높은 위치에너지를 지닌, 즉 궤도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롤러코스터처럼 불안정해진다. 이런 원소는 에너지를 방출하며 안정적인 원소로 변한다. 원소별 질량결손 에너지를 그래프로 그려보면 원소번호 26번인 철에서 최저점을 갖는다.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12시간에 한 번씩 자전하는 게 더 골치였어요. 큰 행성 같았으면 중력이 있으니까 일정한 궤도를 유지하며 저도 공전하겠는데, 추리는 중력이 워낙 미약해서 필래를 착륙시키기까지 무지 복잡한 곡예비행을 해야 했어요.한국시각으로 12일 저녁 6시, 필래를 떨어뜨렸어요. 필래는 천천히 걸어가는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보던 우주 자원전쟁이 본격적으로 막이 올랐다는 걸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소행성궤도변경 임무는 그 서막에 불과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PART2. 소행성 ‘보쌈’해 지구 ...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나왔다.17년 뒤에는 다시 돌아올까그러나 결과는 해피엔딩이 아니었다. 7월에 본격적으로 궤도 수정에 나서자, 시험 가동 때는 멀쩡히 작동하던 로켓 펌프가 말썽을 일으켰다. 탱크 안의 질소가 새 펌프가 힘을 잃은 것이다. 기술자들은 7월 내내 다른 시도를 했지만 결과가 썩 좋지는 않았다. ISEE- ...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최대 19만2874km까지 높였다. 12월 4일 지구 중력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났고 12월 11일 첫 궤도 수정을 했다. 비록 복잡하고 지루하며 메이븐에 비해 폼도 나지 않는 길이었지만 망갈리안에게는 최선의 길이었다.달 탐사도 인도처럼 한걸음부터“인도와 우리나라를 단순 비교하는 것은 곤란하다”라는 ...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일단 살아 있는 동물이 있다는 건 사실상 터무니없는 이야기입니다. 탐사선이 궤도를 돌며 화성 구석구석을 촬영하고 있지만, 동물이 살 수 있을 만한 생태계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돌과 흙을 파먹고 사는 게 아니라면 말이지요. 신발이나 모자 모양의 돌도 비슷합니다. 우리가 아는 한 인간이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