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거듭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권우성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부교수. 2010년 POSTECH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2013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4년 미국 스탠포드대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거쳐 2016년부터 숙명여대에서 근무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광나노소재 설계 ... ...
- [수학상위 1% 비밀무기] 서울대 수리과학부 새내기 어재혁의 합격 비결은 ? 필사와 수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Q. 수시 면접은 어떻게 준비했나요?서울대 수시 면접은 45분 동안 문제를 풀고, 15분간 교수님께 풀이를 설명해야 해요. 그래서 모의 면접을 보듯이 준비했어요. 친구들과 모여서 같이 45분 동안 문제 풀고, 15분 동안 어떻게 풀었는지 설명했어요. 23학년도 수시 문제는 이전 해보다 문제 수가 조금 더 ... ...
- [만화 뉴스] 바이러스 먹는 미생물 할테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12월 27일, 미국 네브라스카대학교 링컨캠퍼스 생명과학과 존 들롱 교수팀은 민물에 사는 플랑크톤 ‘할테리아’가 바이러스만 먹고도 번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어요. 미생물이 바이러스를 먹는 걸 처음으로 직접 확인했지요. 연구팀은 실험용 접시에 민물과 할테리아를 담은 뒤, 바이러스의 ... ...
- [시사과학] 날짜 지난 음식 더 이상 버리지 않아도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6%에 불과했지만, 소비자 절반 이상이 소비기한이 지나도 ‘먹겠다’고 답했죠. 양성범 교수는 “소비기한의 이점을 잘 살리려면 소비자들이 소비기한을 잘 알 수 있도록 많은 홍보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 ...
- [이달의 뉴스] 지구 내핵 회전 멈췄다 기후변화에 영향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그는 이를 통해 내핵이 1회 자전하는 데 약 400년이 걸린다는 결론까지 냈다. 최근 송 교수는 이전 연구 후 기록된 지진파를 과거의 기록과 비교분석한 결과, 2009년 이후 지진파 경로가 변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내핵의 회전이 멈췄다고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의 계산에 따르면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실리게 된다. GSSP로 선정된 지역에는 기념 동판인 ‘황금못’이 설치된다. 터너 교수는 “2024년 부산에서 열리는 세계지질과학총회(IGC)를 최종 결정 기한으로 잡고 있다”고 말했다. 어쩌면 한국이 새로운 지질 시대가 정해지는 역사적 현장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뜻이다. 과연 새로운 ...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진짜일까? 그가 조금 더 오래 살았더라면 정말 노벨상을 탔을까? 핵물리학자 이휘소 교수가 실제로 남긴 업적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의혹 1 이휘소는 한국의 원자폭탄 개발에 참여했다? 이휘소가 박정희 정부의 원자폭탄 개발을 돕다가 암살당했다는 이야기는, 이제는 많은 이들이 알고 있듯이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내가 직접 뉴턴 뺨치는 과학자가 되어 봄 PRINCIPIA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구체화된 지식으로 만드는 과정이 17세기 과학혁명 시기에 만들어졌다는 뜻입니다. 정 교수는 또한 “과학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재미있어 할 부분이 많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예를 들어, 로버트 후크와 아이작 뉴턴이 시도 때도 없이 서로의 연구를 비방하고 험담하며 싸운다든가 하는 모습 ... ...
- 물속 생활 즐긴 공룡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나토베나토르 폴리돈투스(Natovenator polydontus)’다. 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은 2008년 몽골 고비사막에서 물속 사냥을 하는 신종 육식공룡을 발견해 2022년 12월 1일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즈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학명은 ‘이가 많은 수영하는 사냥꾼’이란 뜻이다. 연구진은 ... ...
- [이달의 책] 동물들이 알려주는 우리 모두의 리더십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보여준다. 이 책은 그런 통념을 가볍게 벗어난다. 저자인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는 지금까지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주로 분석해왔던 리더십을, 진화생물학적 관점에서 생명체의 한 형질로 조명했다. 우리 인간은 지난 몇백만 년간 다른 동물과 독립적으로 진화해왔기에, 다른 동물들의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