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련데이터"(으)로 총 1,42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지난 3월 20일, 유럽우주기구(ESA)는 과학위성 ‘플랑크(PLANCK)’의 첫번째 관측 결과를 발표했다. 플랑크는 태초의 우주가 남긴 흔적인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CMBR, 우주배경복사)를 정밀하게 관측하기 위한 위성으로, 1989년의 코비(COBE), 2001년의 더블유맵(WMAP, 이상 미국)에 이어 2009년 발사됐다.코 ... ...
- 저는 로봇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진실로 경애하는 알라무스. 지난 회합에서 잠시 언급되었으나 곧 지나가 잊힌 화제에 순간적으로 그대가 보였던 강한 관심을 내가 놓치지 않고 보았기에, 조금이나마 그에 부응하고자 당시 그곳에 있었던 자로서 내가 가진 기억을 더듬어볼까 합니다.시간은 신력 33년 13월 42일 오전 17시 45분, 장소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꺅! 우리 집이 날아간다!”어느 평화로운 날, 갑자기 불어 닥친 토네이도에 휘말린 도로시는 집과 함께 날아가 버렸다. 한참 뒤, 낯선 곳에서 정신을 차린 도로시는 머리 끝까지 화가 났다.“대체 이 토네이도는 누가 만든 거야?”도로시의 소리를 듣고, 지나가던 허수아비가 말을 건넸다.“너도 ...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이리 둘러보고 저리 둘러봐도 안경이다. 그런데 그냥 안경이 아니다. 말도 알아듣는다. 안경 낀 사람이 보는 그대로 동영상도 촬영한다.날씨, 메시지, 이메일 등도 안경으로 확인한다. 마치 ‘로보캅’이 범인과 주변 환경을 헬멧에 붙은 안경으로 확인하는 듯하다.스마트폰 이후 새로운 혁신을 불 ... ...
- 꽃 호르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식물도 계절을 구분할까. 식물 역시 24시간을 주기로 돌아가는 생물시계를 갖는다. 생물시계를 통해 기온과 낮의 길이의 변화(광주기)를 판단하면서 계절 변화를 알아차린다.꽃 피는 시기도 바로 광주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 사실을 발견한 사람은 미국 농무성 연구소에서 일했던 해리 가너와 와이 ... ...
- [체험] 차세대 통신망 연구실 미래 통신은 수학으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스마트 폰, TV, 태블릿, 인터넷과 집 전화~♪ 꿈으로만 이뤄졌던 상상의 언덕을 지나~♬”모 통신사 광고에서 나오는 노래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통신 기술로, 노랫말처럼 상상했던 일이 현실로 이뤄지고 모든 것이 연결되는 시대가 됐다. 이렇게 발전하는 첨단 통신망을 연구하는 수학자가 ... ...
- PART 2. Sixth Sense Mobil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구글과 휴대전화.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단연 스마트폰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을 쓴다.그런데 구글은 이제 휴대전화 자체에 공을 들인다. 사람의 눈과 귀 역할을 하는 휴대전화, 손으로 쓱~ 글자를 쓰기만 하면 바로 해당 내용이 검색 ... ...
- PART 4. 구글 in Scienc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2008년 구글은 ‘딥 임팩트’라 부르는 우주인터넷 테스트를 마쳤다. 행성간에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실험한 것이다.이 기술이 성공한다면 앞으로 달에서도 인터넷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최근에는 구글 맵을 이용해 지하에 감춰진 유적을 찾는가하면 바이러스 확산 연구 등에도 참여하 ...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지금 당장 컴퓨터를 켜고 인터넷 검색창에 ‘타지 마할(Taj mahal)’을 입력해 보자. 가장 먼저 보이는 결과는 인도의 아름다운 사원 타지 마할이다.그런데 검색한 사람의 의도가 타지 마할이 아니라면? 실제로 그래미상을 받은 뮤지션, 근처 인도 음식점, 호주에서 만든 독립 영화 이름도 타지 마할이 ...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1월 30일 오후 4시, 세 번째 도전에 나선 나로호가 드디어 발사에 성공했다. 이 감격스러운 순간을 위해 대한민국의 많은 과학자들이 오랜 기간 노력을 기울여왔다. 나로호 발사 성공 직후, 아직도 그 생생한 감동이 살아 있는 현장을 제2기 수학동아 독자기자들이 찾아가 봤다.나로호 발사부터 위성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