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서열
순번
순위
순차
질서
등위
d라이브러리
"
차례
"(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과학동아
l
201007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 자체의 전면 수정이 불가피하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두
차례
발사 실패로 한국이 만든 상단로켓 기술을 완벽하게 검증하지 못했다”며 “국민 정서를 보상하는 차원에서 3차 발사가 필요하지만 이 역시 실패하면 우주개발 사업 자체가 좌초되는 최악의 상황이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07
중력권 내로 들어오는데, 이때 관찰할 수 있는 현상이 유성우이다. 유성우는 일 년에 수
차례
나 관찰된다. 1분 동안 많게는 수만 개의 유성이 떨어지는데, 지상에는 유성우의 흔적인 운석이나 운석 구덩이를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토의해 보자. -천재교육, 물리1 교과서 중- [과제 ... ...
바다 밑 생명체 대왕 오징어
과학동아
l
201007
대서양의 해저 4000m 지점에서 대왕 오징어가 처음 목격된 뒤 태평양과 인도양에서도 여러
차례
모습을 드러낸 바 있다. 2009년에는 일본 부근에서 9m 크기의 대왕오징어를 입에 문 고래의 모습이 촬영됐다. 길이가 18m까지 자라는 향유고래는 심해로 잠수해서 대왕 오징어를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져 ... ...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1007
KIRD)이라는 기관에서도 글쓰기 강의를 하고 있다. 2009년부터 1년에 5~6
차례
진행하는 이 수업에서는 대덕연구단지 내에 있는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연구 논문부터 대중매체 기고문까지 다양한 형식의 글을 작성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그는 또 전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T)에서 ... ...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수학동아
l
201007
쏘아 올리지는 못했다. 러시아와 협력해 나로호를 만들어 로켓 발사에 도전했지만 두
차례
의 시도가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나로호는 2단 로켓으로 1단은 러시아가 개발한 액체연료 로켓, 2단은 우리나라가 직접 개발한 고체연료 로켓으로 이뤄졌다. 나로호에는 과학기술 위성2호가 실려 있었다.첫 ... ...
7 안에 숨겨진 신비로움
수학동아
l
201007
필요한 날이다. 숫자 7에서 신선한 자극을 찾을 수 없을까? 무작정 계산기에 대고 1부터
차례
로 7로 나눠 봤다.1÷7=0.142857142857142857… 142857이 계속 순환한다.2÷7=0.285714285714285714… 285714가 계속 순환한다.3÷7=0.428571428571428571… 428571이 계속 순환한다.4를 7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
과학동아
l
201007
자랑했다. 이들의 작품은 지금 봐도 감탄이 나올 정도로 뛰어난 걸작이 많다. 그러나 두
차례
의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이성에 대한 낙관적 신념은 사그라지고 말았다. 차차 수학퍼즐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줄어들었고 퍼즐은 그저 애들 장난 같은 것으로 취급됐다. 로이드와 듀드니가 어떤 작품을 ... ...
사건파일 1 공룡뼈의 정체를 밝혀라!
수학동아
l
201006
지탱하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지.이제 어떤 종류의 공룡인지 알아볼
차례
군. 공룡의 종류를 구분할 때는 엉덩이뼈의 모양을 보면 돼. 엉덩이 뼈의 앞부분을 구성하는 치골의 위치를 잘 봐. 이건 치골이 뒤에 있는 뼈와 함께 나란히 앞뒤로 뻗어 있어. 바로 조반류의 공룡이란 거지. 즉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06
국내서 꾸준히 연구한국은 이미 2000년~2007년 가스구체와 수중 폭발에 대한 연구를 수
차례
진행한 일이 있다. 해군이 214급 잠수함을 도입하고 KDX-III와 독도함 같은 대형 함정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적의 수중 공격을 대비하기 위한 방안들이 마련됐다. 특히 수중에서 주로 활동하는 잠수함은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06
전극이 달린 모자를 만들었다. 모자를 쓰고 글자를 떠올리면 컴퓨터 화면에 해당 글자가
차례
로 뜨도록 했다. 그리고 첫 시도로 ‘USING EEG TO SEND TWEET(트위터에 EEG로 글 남기기)’과는 문장을 올리는 데 성공했다. 현재 ‘브레인트위터’라는 이 기술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1분에 최대 8글자까지 올리며,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