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행성들, 가니메데 무차별 폭격
과학동아
l
199610
대신 보드랍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다. 에우로파 표면에는 간헐천처럼 보이는
지형
과 고속도로처럼 길게 뻗은 선들이 또렷하게 나타났다. 물론 이것은 보이저가 처음 발견한 것들이다. 그러나 갈릴레오가 지구로 전송한 사진은 훨씬 선명했다.8월 13일자 NASA의 프레스 브리핑에 따르면 ...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07
다르게 얼음골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먼저 밀양 얼음골의
지형
에 대해 알아보자. 화산암으로 이뤄진 산이 풍화에 의해 부서지면서 산기슭에 너덜(talus)을 만들고, 이 너덜은 20~30cm 크기의 화산암이 쌓여 이뤄진 것이다. 이 너덜의 맨 밑에는 얼음골이라는 표지판이 세워져 ... ...
4. 가상현실
과학동아
l
199606
NASA)의 무인우주선이 행성을 탐험하면서 보내온 혹성 탐험 기록을 판독하고 행성의
지형
을 지구에서 재현하는데서 시작됐다.우주나 깊은 바다와 같이 인간이 거주하기 어려운 극한세계에 무인우주선이나 잠수함을 투입해 획득한 정보를 원격지에서 판독하고 새로운 지시를 내리는 분야에 ... ...
허블우주망원경 6주년 생일파티
과학동아
l
199606
따른 얼음층의 분포, 그리고 대기 성분 등에 의해 변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명왕성의
지형
이름에 관한 공모는 추후에 있을 예정이다. ‘태백산맥’이나 ‘개마고원’ 같은 우리말 이름을 붙이면 어떨까. 비누방울 모양의 천왕성적외선으로 촬영한 천왕성의 모습으로 10년 전 보이저2호가 찍은 ... ...
행글라이딩, 패러글라이딩
과학동아
l
199604
불과하다. 군사상 많은 곳이 비행불가지역으로 지정돼 있다는 것이 한 이유가 되겠지만,
지형
적 요인도 매우 크다는 것이다."중국의 황사가 매년 봄 우리나라를 덮치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에는 위도상 편서풍이 분다. 편서풍을 맞고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서쪽을 향해 선 적절한 고도의 ... ...
서울 면적의 1.6배
과학동아
l
199604
그지없다.더욱이 관리되지 않는 무덤은 원래의 생태계로 복귀되기 어렵다. 완만한 구릉
지형
에 방치된 공동묘지를 생각해 보면, 후손들의 발길이 뜸해지면서 무덤 식물사회의 멤버 교체는 신속하게 진행된다. 벌초가 중단되면 키 작은 식물들 위로 키가 큰 초본식물종이 자라기 시작한다. 이때 키가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03
말은 그들에게 차이점이 많아져 교배를 통해 자손을 낳을 수 없게 됨을 뜻한다.육지에는
지형
적인 장벽과 기후적인 장벽들이 많이 존재한다. 그러나 바다에는 그런 장벽이 거의 없다. 다윈과 그의 후계자들은 바다보다 육지에 더 많은 생물이 존재한다고 설명할 때 이 점을 지적하곤 했다. 심해에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03
이용한다. 지구물리탐사를 통해 해저기반암의 심도와 해저면의 분포, 퇴적층의 두께,
지형
의 변화 등 다양한 해저지질 정보를 얻을 수 있다.수압의 경우도 심해저 탐사하는데 큰 적이 된다. 수압은 10m를 잠수할 때 마다 1기압씩 올라간다. 그러므로 망간단괴가 분포하고 있는 수심 5천-6천m까지 ... ...
29억년의 신비 화석으로 본 한반도 역사
과학동아
l
199601
시작된 신생대 제4기 때다. 이때서야 태백산맥과 낭림산맥 등이 솟아오르고 동고서저의
지형
적 특성을 갖췄다고 한다. 그러니 그 이전의 땅은 ‘한반도’ 라고 하는 상상 속의 땅에 불과하다.남한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 중의 하나는 경기도 오산에 있는 흑운모편마암인데, 그 나이가 자그만치 29억2천 ... ...
모험 스포츠의 백미 번지점프
과학동아
l
199512
강물로 뛰어드는 방식에서 차츰 고층건물의 옥상이나 건설 현장의 크레인 등 고정된
지형
지물에서 지상에 설치된 안전판 위로 떨어지는 방식으로 변했다. 본격적인 대중화가 시작된 것은 사시사철 언제라도 점프가 가능한 번지점프 전용 타워가 등장하면서부터.번지점프의 경기 방법은 안전띠를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