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료
필업
학위 취득
졸업식
수여식
d라이브러리
"
졸업
"(으)로 총 1,335건 검색되었습니다.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01
논리로 무장한 자신의 글에 흡족해할 날이 곧 올 것이다.강호정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
한 뒤 영국 웨일스대에서 습지생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학자에게 연구능력 못지않게 글쓰기 능력이 중요하다는 신념으로 ‘과학작문 특강’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01
생물학뿐 아니라, 물리학과 화학 지식이 종합적으로 필요하다.1960년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
한 김 교수는 미국 피츠버그대에서 물리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연구주제는 X선 결정학으로 탄수화물의 입체구조를 밝히는 일이었다. X선 결정학은 20세기 초 영국의 물리학자 윌리엄 브래그 박사가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12
영국에서 일생을 보낸 그는 어린 시절 홍역을 앓다가 청력을 잃었다. 장애인 학교를
졸업
한 뒤 친구였던 천문학자 에드워드 피고트의 사설천문대에 드나들면서 천문학에 관심을 갖게 됐다.구드릭에게 소리를 들을 필요 없는 천체 관측은 희망의 세계나 다름없었다. 피고트는 천문학에 흥미를 보인 ... ...
수학으로'돈의 흐름' 쫓는다
과학동아
l
200711
싶은 여성을 대상으로 ‘금융공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이공계 대학을
졸업
했거나 현재 과학기술분야에 재직하고 있는 여성에게는 약 2개월의 교육기간 동안 교육비 200만원 중 125만원을, 이공계 대학원생에게는 150만원을 지원한다.임 씨도 이런 혜택을 받고 2005년 이 교육과정 1기로 ... ...
2. 암모니아 합성 과정, 원자 수준에서 보는 고체표면화학
과학동아
l
200711
매년 산행에 참가한다. 내년 5월 1일에는 에르틀 교수의 노벨상 수상을 기념하며 모든
졸업
생이 함께 모일 예정이다. 벌써부터 에르틀 교수를 포함해 내년에 만날 연구실 식구들의 얼굴이 떠오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7년 노벨과학상 따라잡기1. 하드디스크 소형화 일등공신 ... ...
예비우주인과 팀워크가 중요
과학동아
l
200710
말했다. 한국 최초 우주인이 받을 대우는?고 씨는 한영외국어고를 나와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
한 뒤 같은 대학에서 인지과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삼성종합기술연구원에서 인공지능을 연구하다가 우주인에 도전해 3만6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정후보로 선발됐다. 지난해 최종후보 2명을 선발했을 때는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10
동일성을 증명했다(1796)1884~1971 스웨덴의 생물불리 화학자 발보 태생 웁살라 대학을
졸업
하고 모교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1912년에는 교수가 되었다 자기장 속을 운동하는 하전입자의 각 운동량 벡터는 자기장 방향의 성분이 특정하게 불연속적인 값을 갖도록 방향을 잡는다는 방향양자화를 증명한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10
영국 유학생을 모집합니다.” 1989년 여름방학 KAIST 게시판에 붙은 이 공고를 보고 KAIST 1기
졸업
생이 몰려들었고 이들 가운데 5명이 최종 선발됐다. 이 5명이 그해 10월 영국 서리대로 유학을 떠나면서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을 개발하는 우리별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이듬해에는 KAIST 내에 ... ...
과학의 열정 무대에서 불사르다
과학동아
l
200710
사람들의 피부에 와 닿게 하기에 역부족이다.전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T)가 이공계
졸업
뒤 취업이 안 됐거나 직장을 그만 둔 여성을 대상으로 ‘사이언스 커뮤니케이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 배경이다. 과정을 수료하면 과학관 탐구교실, 방과후 교실 등에서 강사로 활동할 수 있다.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10
1817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 입학, F W 베셀의 천문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20년
졸업
과 동시에 그의 조수가 되었다 인공위성을 이용해 원거리 해양에 직접 가지 않고 관측하는 시스템 데이터 수집위성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해면의 부표(浮標)나 기구(氣球), 또는 동물 등에 부착시킨 발신기에서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