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종이접기] 황금비가 숨어 있는 정오각형 만들기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별 모양(☆)의 꼭짓점을 차례로 이으면 오각형을 그릴 수 있다. 만약 그려진 오각형이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정오각형이라면 그 속에 숨겨진‘황금비’도 찾을 수 있다. 오늘은 정사각형 색종이를 이용해 정오각형을 만들고, 황금비를 이용해 작품을 만들어 보자.피타고라스가 사랑한 정오각형고 ... ...
- '요리왕' 링링의 꿈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중국 여행 중 중국 최고의 요리사를 꿈꾸는 링링을 만나 요리대회에 참가하게 된 허풍과 도형. 허풍은 링링의 제안을 받아들여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뽐내는데…. 과연 요리대회에서 우승할 수 있을까?1 요리대결 ① 중국 최고의 만두링링의 안내로 요리학교 조리실에서 연습을 하게된 허풍 일행.“ ...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둠둠두둠 둠둠두두둠~♪ 두비두바바~♬”내가 도대체 누군데 이렇게 멋진 음악과 함께 등장하냐고? 나는 최고의 유령 사냥꾼 고스트헌터!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에게 피해를 주는 유령을 잡아가두지. 그런데 최근 이산화탄소라는 유령에 어마어마한 현상금이 걸렸다는 소식을 들었어. 이산화 ... ...
- 수학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폴클랑 졸리스텐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지난 10월 1일, 기자는 경기 용인시에 위치한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을 찾았다.‘피타고라스의 음계’라는 오케스트라 공연을 보기 위해서다. 그런데 음악 공연 제목에 수학자 이름이 들어가 있다. 뭔가 심상치 않은 공연임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었다.오후 3시. 피타고라스,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베토 ... ...
- PART 2. 숨 막히는 3일간의 대혈전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세계 3대 스포츠로 꼽히는 F1은 평균 2주에 한 번 꼴로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며 경기를 치른다. 전 세계 5억 3000만 명이 경기를 시청하고, 1년에 약 400만 명이 경기를 직접 관람한다. 우리는 그들 앞에서 경기를 무사히 치를 수 있을까.10월 14일, 연습 주행올해로 2회째를 맞이하 ... ...
- PART 1. 황당한 이그노벨상, 알고 보면 의미심장해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매년 10월 초면 스웨덴에서 노벨상 소식이 들려온다. 하지만 이보다 앞서 미국 하버드대에 세계의 눈길이 쏠린다. 노벨상을 풍자해 만든‘이그노벨상’시상식이 열리기 때문이다. 노벨상과 달리 이그노벨상에는 엄연히 수학상이 존재한다. 그동안 어떤 연구 업적들이 수학상을 받았을까?지구 최후 ... ...
- 학생이 원하는 대로,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열린 사고와 소통의 시대를 맞아 영재교육에도 새로운 바람이 일고 있다. 멀게만 느껴지는 과학자를 만나 궁금한 이야기를 듣고, 자신이 배우고 싶은 주제를 직접 선택한다.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에서는 이 모든 일이 현실이 된다.과학자를 찾아가 만나다“짧은 만남이었지만 내가 그려가고 있는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1] 유리수는 모두 순환소수인가?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유리수는 분자와 분모가 정수인 분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를 뜻합니다.유리수에는 자연수와 정수는 물론이고, 소수점 아래 몇 번째 자리에서 끝나는 유한소수도 포함되지만 논의에서 제외합시다. 위질문은 0.3434…와 같이 소수점 아래에서 끝나지 않는 무한소수인 유리수는 반드시 34와 같이 적 ... ...
- '어린이과학동아'로 하는 신나는 과학수업!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아흠~, 따분해! 과학시간이잖아? 난 왜 과학시간만 되면 머리가 지끈지끈 아픈지 모르겠어~.특히 지난 시간에 배운 지구와 달은 생각만 해도 으…, 너무 헷갈려~!섭섭박사 : 과학시간이 따분하다구? 지구와 달이 어렵다구? 오우~ 노! 그렇지 않아요!앗, 깜짝이야! 누…, 누구세요?섭섭박사 : 위대한 16차 ...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닥치고 방정식이나 푸시지!(Shut up and calculate!)”이유는 묻지 말고 계산이나 하라는 이 비아냥은 놀랍게도 양자역학이 간혹 듣는 비판이다. 20세기 가장 성공적인 이론 중 하나지만, 양자역학은 결점이 없는 이론이 아니다. 오히려 너무나 뻔한 결점이 있어서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무엇이 현대 ... ...
이전6556566576586596606616626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