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 바이오닉맨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연구가 현실화되면 한쪽 눈으로 40배율을 줌인 하고, 한쪽 귀는 1km밖의 소리를 듣는 것도
가능
하다. 또한 시속 100km로 달리고 15m 높이 건물에도 뛰어오를 수 있을 것이다. 2030년, 전문가들은 바이오닉맨이 윤곽을 드러낼 것이라고 예측한다. 과학을 입고 신체의 각 부분을 업그레이드한 포스트휴먼은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따라 안경에 장착유통기한 : 평생 사용
가능
사용대상 : 시각장애우와 일반인 모두 사용
가능
주의사항 : 땅에 떨어뜨리면 깨질 수 있으니 조심▼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바이오닉맨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part 2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듣는 '소머즈'귀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part 4 암기에서 ... ...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색이 변하지 않을 정도로 안정하다. 색소와 흰 점토를 섞었을 뿐인데 어떻게 이런 변신이
가능
했을까. 1990년대 들어서 마야블루가 오랜 세월 변하지 않는 이유가 팔리고스카이트에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와 함께 놀랍게도 마야블루가 나노구조물인 점도 밝혀졌다.1996년 멕시코대 재료과학자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쥐고 있어 건강하지 못한 세포는 냉정하게 자살을 유도한다. 세포가 암으로 발전할
가능
성을 미리 차단하는 셈이다.암환자의 절반 이상이 p53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발병하는데, 조 단장은 p53 단백질에서 변이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아미노산의 구조를 분자수준으로 밝혔다. 미국 코넬대 유학시절의 ... ...
약물 배달하는 똑똑한 미세바늘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보기만 해도 공포를 자아내는 주사기 대신 ‘마이크로 바늘’이 활약할 날이 멀지 않았다.미국 조지아공대 화학생체공학과 마크 프라우스니츠 교수팀은 수많은 미 ... “반창고처럼 붙이기만 하면 되므로 독감백신이나 인슐린, 성장호르몬을 스스로 투여하는 일도
가능
하다”고 말했다 ... ...
하이브리드·유니크니스·미니멀리즘의 삼박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태양열을 최대한 이용하고 공기저항을 최소화했다. 양산차로 이어질지는 의문이지만
가능
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만하다. 오픈카 타고 물속 달린다 U for Uniqueness모터쇼 전부터 화제가 된 린스피드의 ‘스쿠바’(sQuba)는 물속 10m에서 달릴 수 있는 ‘잠수함 승용차’다. 지상에서 ... ...
적신호 켜진 허리 건강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바르게 하는 것이 척추 건강을 지키는 최선책”이라고 설명했다.2. 척추측만증도 치료가
가능
한가?40° 이하인 경우 근육운동과 보호구 착용으로 상태 호전돼인제대 상계 백병원 척추센터에 다니는 여고생 박 양은 척추가 60° 휘었다는 진단을 받았다. 겉으로 봐도 그의 등은 구부정하고 일반인에 ... ...
part 2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듣는 '소머즈'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들으려면 ‘특정 주파수 증폭’ 메뉴를 선택사용대상 : 청각장애우와 일반인 모두 사용
가능
주의사항 : 남의 사생활과 관련된 이야기를 듣는 등 부적절한 경우에 사용 금지골라 듣는 재미가 있다소머즈처럼 멀리서 들리는 작은 소리도 선명하게 들으려면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 우선 듣는 사람의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미래에 일반인들이 뇌를 ‘업그레이드’할 때 수술이 필요 없는 TMS기술을 이용할
가능
성이 크다”고 예측했다.인공해마와 BCI, TMS기술이 발달해 뇌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면 기억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우울증 같은 질병도 예방할 수 있다. 인간의 모든 행동과 사고를 담당하는 뇌를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1년마다 2배씩 늘어난다는 황의 법칙까지 반도체 메모리 증가 속도가 눈부시다. 이게
가능
한 이유는 소자 집적화의 핵심 변수인 회로 선폭을 줄이는 기술이 뒷받침됐기 때문. 최근에는 선폭을 50nm(나노미터, 1nm=10-9m)까지 줄인 반도체가 나왔다. 머리카락 두께의 1000분의 1도 안 되는 선폭을 구현하는 ... ...
이전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