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지난 해 통계청이 조사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1인 가구의 수는 전체 가구의 25%를 훌쩍 넘는 520만 명이다. 사회가 점차 고령화되고 초혼 연령이 늦어지면 ...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특히 바쁜
일
상에 지쳐 있는 현대인은 자기 마음 속 소리에 귀 기울
일
수 있는 취미를 반드시 즐겨야 한다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인터뷰는 여중생들이 마치 ‘방탄소년단’을 실제로 만난 것에 비견할 만큼 가슴 떨리는
일
이었다. 독자들이 이 책을 읽으며 ‘현대물리학의 가장 정교한 눈’으로 과거를 살펴보는 지적 희열을 느낄 수 있길 바란다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코딩에서는 컴퓨팅 사고가 필수예요. 컴퓨터에게 시키고 싶은
일
을 명확히 찾고, 그 과정을 논리적 절차로 구성해서 컴퓨터에게 입력해야 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들은 문제 해결의 절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순서도’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검토한 뒤, 그 순서에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절반이 붕괴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반감기’라고 하는데, 반감기는 원소별로
일
정해요. 결국 화석 속에 남아있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비율을 통해 시간을 계산하면 화석이 만들어진 시기를 알 수 있답니다. 딱딱하게 굳은 석고 틀 속에 경화제를 섞은 액화수지와 조개껍데기를 넣고 10분 정도 ... ...
INTRO. 구부러진 세상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아파트와 고층 건물에서 알 수 없는 무뚝뚝함이 묻어난다. 직선이 주는 날카로움 때문
일
까. 어어…. 그런데 갑자기 세상이 구부러져 보인다. 모든 것이 굽어보이기 시작했다. 눈을 비비고 다시 쳐다봐도 마찬가지다. 뭐라고? 세상은 사실 모두 곡선이라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휘어진 시공간을 생각해냈고, 1916년
일
반상대성이론을 발표했다. 당시 아인슈타인은 “만
일
내가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몰랐다면 결코 상대성이론을 만들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인 지구와 우주는 굽어 있다. 그것을 깨닫는 데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다. ▼관련기사를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그 분야를 전진시켰다”며, “만약 그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었다면 과연 무슨
일
이
일
어났을까?”라고 평가했다.자연수를 사랑한 수학자 라마누잔의 낭만적이지만 비극적인 삶을 다룬 이야기는 11월 3
일
개봉하는 영화 에서 만나볼 수 있다 ... ...
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한계가 있기 때문이에요.
일
본 정부는 최대한 많은 정보를 모으기 위해서 트위터와 이메
일
로 피해 복구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받았어요. 중재자가 정보가 거짓인지 아닌지 따져 도움이 되는 정보라고 판단하면 ‘sinsai.info’라는 사이트에 바로 공개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소중한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읽었다. 수학을 체계적인 학문으로 만든 건 로마나 바빌로니아에서도 하지 못한 대단한
일
이었다. 어떤 사람은 그리스인이 유독 논쟁을 좋아해서 유클리드가 책을 만들게 됐다고 말하기도 했다.어떤 이유든 유클리드의 책이 이후의 많은 수학자에게 영향을 끼친 건 틀림없는 사실이었다.단은 ... ...
[Editor’s Note] 화성 몽상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2025년까지 사람을 화성에 보내겠다고 공언했다. 정확히 10년 뒤. 예상보다도 빠른
일
정이다. 머스크의 말이 허언은 아닌지, 현재의 우주 공학 기술과 거주지 건설 기술을 중심으로 짚어봤다.매년 10월 초가 되면 과학계가 들썩인다. 노벨상 발표 때문이다. 올해는 꽤 어려운 분야인 응집물리와 ... ...
이전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