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대한민국 수학 국가대표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즐거움이 뭔지 알게 되거든요.승섭 수학은 즐거움을 찾아가는 학문이다. 쉬워서 수학을
시작
했지만 이제는 잘해서, 아름다워서, 남에게 도움을 줄 수 있어서 하고 있어요. 수학을 즐길 수 있는 이유는 참 많은 거 같아요. 계속 할수록 더 많은 즐거움을 주는 학문이랍니다.성기 수학은 보물찾기다. ... ...
PART 2 수학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않아요. 단지 숫자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죠. 피타고라스학파에선 숫자 1을 모든 것의
시작
이자 완전한 수로 간주해 신성하게 여겼어요. 원처럼 스스로 닫혀 있는 상태라고 생각했죠.숫자 2는 갈등이나 차이를 나타내는 이중성을 의미해요. 두 원이 겹친 것을 보고 주인공은 숫자 2를 떠올리죠. 숫자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설명이다.초경량 시스템에 적용되는 암호 알고리즘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5~6년 전부터
시작
됐지만 아직까지 주목할 만한 결과가 나오고 있지는 않다. 연구팀은 암호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한 뒤 여기서 초경량 시스템에 적합한 방법으로 범위를 좁혀가며 연구를 진행해가고 있다. 수학적으로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점점 차가워지면서 생기기 쉽다. 이때 바닷물에서는 하늘을 향해물 입자가 날아가기
시작
하며, 해수면에 검은 점이 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수증기가 반지 모양으로 증발하기 때문이다. ‘수증기 반지’가 연속적으로 증발하면 곧 회오리가 되면서 하늘에 떠 있는 적운(뭉게구름)과 이어진다. ... ...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생기면 웹사이트도 새롭게 꾸며야 할 것이다. 해커는 개발용 사이트가 남아 있는지 찾기
시작
한다. http://test.abank.com, http://developer.abank.com 처럼 테스트용으로 만들었을 법한 주소를 입력해 본다. 그렇지! 열렸다! 개발용 사이트는 운영 사이트보다 보안이 허술하다는 점을 알고 해커가 미소 짓는다 ... ...
시집가려고 고향 떠났던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여성을 시집보낸 것으로 보인다”며 “처음엔 직립보행의 근거를 찾기 위해 연구를
시작
했지만 가설을 수정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학술지 네이처 6월 2일자에 소개됐다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할 수 있다. 다소 아쉬움이 있지만 그동안 우주비행사만이 봤던 지구의 끝과 우주의
시작
을 볼 수 있는 경험은 충분한 매력이 있다.지구 한 바퀴 도는 궤도 우주비행선그러나 인류가 궁극적으로 바라는 우주여행은 지구를 한 바퀴 이상 선회하는 ‘궤도 비행’이다. 궤도 비행은 지금까지는 민간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만드는 게 목표였어요. 처음 설계도만 봤을 땐 별 거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중간에는 왜
시작
했을까 후회도 많이 했죠.”임 씨가 이 비행기를 복원하는 데는 꼬박 2년 4개월이 걸렸다. 재료나 제작방식까지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요즘 같으면 기계로 간단히 찍어낼 수 있는 부품도 일일이 대패로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현재보다 훨씬 수축된 상태, 어쩌면 크기가 0인 상태)로
시작
되었다면, 이런 폭발적인
시작
으로부터 나온 복사(빛)의 일부가 우주 저편 어딘가에 남아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1948년 미국의 물리학자 랠프 앨퍼와 로버트 허먼은 빅뱅 당시 나온 복사는 우주가 팽창하면서 에너지 밀도가 낮아져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보기로 했다. siRNA를 뿌려 p21의 기능을 망가뜨렸더니 세포는 다시 왕성하게 분열하기
시작
했다. 여기에 역분화를 도와주는 화학물질인 ‘리버신(reversine)’과 지방세포로 변하게 하는 신호 물질을 넣었더니 7일 뒤 지방세포가 됐다. 넣는 신호물질에 따라 근육세포가 되기도 하고 뼈세포로 분화하기도 ... ...
이전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