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한반도를 뒤흔들 5대 기후변화 조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우리를 파멸시킨 것은 겨울이었다. 우리는 날씨의 희생양이다.”1812년 나폴레옹은 러시아 원정에 실패했다. 그 해 엘니뇨 현상이 나타났다.1912년 대형 호화여객선 타이타 ... 현재 남해안 지역과 비슷한 기후로 바뀔 경우 사과, 포도 같은 온대 과수의 재배지는
계속
북상할 수밖에 없다 ... ...
다시 꾸는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세우려고 지금도 묵묵히 걷고 있는 줄기세포의 꿈을 다시 엿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다시 꾸는 줄기세포의 꿈1. 줄기세포 희망심기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수 있게 되기까지는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다시 꾸는 줄기세포의 꿈1. 줄기세포 희망심기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 ...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또 원자, 양성자, 쿼크로 이어지는 원자 구조를 설명할 때는 벗기면 속에 더 작은 인형이
계속
나오는 러시아 인형을 예로 든다. 원자끼리 서로 전자를 공유하며 결합하는 현상을 남녀 사이의 결혼으로 설명하기도 한다.1977년 미국 시카고대에서 물리화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김 교수는 미국 ... ...
반도체 칩 위의 건축가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더 가볍게’를 추구하는 경량화 추세가 확산되면서 저전력 설계의 필요성이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연구팀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연구도 칩에서 전력을 적게 소비하는 기술이다. 현재 연구 중인 ‘파워 게이팅 프로젝트’는 반도체 칩에서 누설(漏泄)전류 때문에 발생하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 ...
피부의 천적 가려움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않는다. 그러나 간혹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데도 오랜 동안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계속
해서 두드러기가 나는 만성 두드러기가 있다.임상에서도 환자가 수년간 만성 두드러기로 고생하다가 일정 기간의 한방 치료 후에 증상이 없어지는 경우를 자주 경험한다.이런 경우 막연하게 ‘체질 ... ...
한류는 유전자 0.00586%의 힘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DNA’가 있는 것은 아닐까. 과학이 해부한 한류 속으로 들어가 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류는 유전자 0.00586%의 힘 2. 한류 DNA를 찾아서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 4. 디지털 한류 이끄는 '별의 전사들'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김희선이 중국에서 ... ...
2. 한류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냄비근성 유전자’나 ‘빨리빨리 유전자’가 있는 것은 아닐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류는 유전자 0.00586%의 힘 2. 한류 DNA를 찾아서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 4. 디지털 한류 이끄는 '별의 전사들'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김희선이 중국에서 ... ...
4. 디지털 한류 이끄는 '별의 전사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사실과 당신이 그들을 보았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집으로 돌아올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류는 유전자 0.00586%의 힘 2. 한류 DNA를 찾아서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 4. 디지털 한류 이끄는 '별의 전사들'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김희선이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예정이다. 운이 좋다면 2010년까지도 정상 작동을 기대할 수 있다. 그때까지 데이터를
계속
얻을 수 있다면 더 많은 우주와 은하의 비밀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은하 신비 밝히는 천문학계의 별 - 창의단지기 이영욱 교수이영욱 교수는 논문의 국제적 명성을 가늠하는 척도인 SCI 피인용 횟수 ... ...
이전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