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론 VS 창조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런던 대영자연사박물관의 유명한 고생물학자 콜린 패터슨
박사
가 1981년 미국자연사박물관에서 행한 강연의 한 부분을 살펴보자.'몇주일동안 여러 사람에게 하나의 질문을 던지며 돌아다녔습니다. '귀하는 진화론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소? 무엇이든 하나라도 좋으니 ... ...
3 보호해야 할 '시험관 생명'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준다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그러나 노벨상수상자 리타 레비 몬탈치니
박사
는 "죽음으로 거부당한 모성 욕구가 가족의 사랑으로 되살아난 것"이라며 이를 적극 옹호했다.최근 일본에서는 친딸이나 여동생 등 근친의 난자를 제공받아 아이를 출산하려는 부부들이 생기고 있다. 이들중 ... ...
머리 좋아지는 냄새는 없을까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신경세포에 적용시킨 것이다.특정 냄새를 인지하는 것은 어떤 메커니즘 때문일까. 리드
박사
는 두가지 가능성을 제시한다. 한가지는 각각의 신경세포다. 특정 물질에만 반응하는 수용체 한종류만 갖는다는 것이다. 나머지 한가지 가능성은 신경세포 하나에 여러개의 수용체가 있어 이들이 ... ...
조용하게 때론 거칠게 바다를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번식, 적조 초기에 투입해 적조를 방지하는 것도 연구할만한 가치가 있다(사진은 장만
박사
와 필자가 제공한 것입니다).발생과 피해의 메커니즘 - '부영양화' 넘어 '과영양화'로 물고기 떼죽음적조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다. 수온, 염분, 빛의 세기, 영양염류와 같은 ... ...
노벨상 '속성재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이번에 화학상을 받은 분들은 20년 이상 기다렸고,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라이네스
박사
는 40년을 넘게 기다렸다. 그래서 고등과학원을 운영하기 위해선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예산 편성 없이는 용두사미가 될 수 밖에 없다.노벨상을 타기 위해 세워진다는 고등과학원은 무궁화위성과 더불어 95년 ... ...
비만 8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이것이 식습관 때문인지 유전 때문인지 확인된 바는 없다.미국의 스턴카드(Albert Stunkard)
박사
는 "성인의 비만은 유전적인 영향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가족이라는 환경 자체는 중대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는 과거에 입양아였던 중년 5백40명을 대상으로 ... ...
GPS 인공위성 이용 정밀한 위치 측정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따라 베들레헴에 가서 아기 예수께 경배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여기에 등장하는 동방
박사
는 아마도 천문학자였을 가라고 생각된다. 이 이야기는 지상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하여 먼 옛날부터 사람들이 별을 중요한 도구로 활용하였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오늘날도 지상의 위치와 대륙간의 ... ...
Ⅲ 한국형 감성공학, 세계로 나간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상품화 한다는 이른바 '미드 엔트리(mid-entry) 전략'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는 이 연구는 이
박사
의 말처럼 축적된 기초자료가 국내에 거의 없는 상태에서 진행되는 까닭에 사상누각(砂上樓閣)이 될 공산도 없지 않다는 주장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이런 우려를 의식한 탓인지 프로젝트 기안을 담당한 ... ...
95 노벨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받았으며, 로랜드교수는 1927년 미국 오하이오에서 태어나 1952년 시카고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이들의 연구대상인 성층권 내의 오존층은 남극의 오존구멍으로 널리 알려졌다. 상품명 '프레온'으로 더 유명한 CFC 사용에 의한 남극의 오존구멍 형성을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다 ... ...
태초 우주 비밀 밝힐 원시헬륨 발견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별에 의한 오염이 없는 은하 밖에서 헬륨을 찾으면 된다. 이런 점에서 데이빗센
박사
가 은하들 밖에서 헬륨 기체를 찾아낸 일은 대폭발이론을 입증하기 위해 마땅히 꿰어야 할 하나의 빈 고리를 발견해낸 업적으로 평가된다 ... ...
이전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