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주인공으로 선정했습니다. 최성훈_ sunghunchoi1985@gmail.com서울대 멀티스케일에너지과학기술연구실의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리튬이온전지의 고용량 음극인 실리콘을 연구하고 있다. 실리콘 음극에 로탁세인과 같은 분자기계를 적용해 성능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 [Culture] 혼자 두고 나갈 때마다 심술 부려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위해서는 좀 더 자세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2014년 린 마리 스토렌젠 노르웨이생명과학대 박사가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분리불안증으로 진단된 개 215마리 중 82.8%는 분리불안증 이외에 다른 문제가 함께 진단됐습니다. 분리불안증만 앓고 있던 개는 18.5%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다른 불안장애를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스티븐 호킹 박사는 연구뿐만 아니라 용기와 끈기, 탁월한 유머감각으로 전 세계 사람들에게 영감을 줬다. 학회에서, 또는 책과 강연 등을 통해 ... 보시려면? Intro.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때 사춘기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한다. 사춘기가 시작되는 시기는 사람마다 다르다. 그간 과학자들은 사춘기의 시작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대거 발견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의학연구위원회(MRC)와 미국의 유전자분석기업 23앤드미(23andMe)가 공동연구를 통해 꾸준히 유전자를 찾아내왔다. 시작은 2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사용한다. 사춘기 청소년이 부모와 교사의 말을 오해하거나 지시에 반항하는 이유도 뇌과학적인 관점에서는 편도체가 반응해 이성적 판단보다는 원초적 감정이 앞서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편도체는 뇌에서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한다. 주위의 위험을 알아차리고 자신을 보호하는, 생존에 ... ...
- Part 2. 중금속, 발암물질이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점을 이용하면 미세먼지의 출처를 밝혀낼 수 있다. 엄 환경연구사는 “현재 중국, 일본 과학자들과 함께 공동연구를 시작했다”면서 “앞으로 동북아 미세먼지의 발생원을 찾고 흐름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미세먼지 속으로Part 1. 예보, 못 ...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입학처장은 “DGIST는 다른 대학에서는 볼 수 없는 융합교육을 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뇌과학을 연구하겠다는 학생이 상당한 프로그래밍 실력도 갖추는 식”이라며 “신물질, 정보통신, 로봇, 뇌·인지, 에너지, 뉴바이올로지 등 다양한 부문을 고루 배운 결과”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최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덕분에 전기·정보공학부 입학 뒤에는 교육의 측면에서 대학 교과목을 선행한 영재고나 과학고 등 특목고 졸업생과 그렇지 않은 일반고 졸업생 사이의 차이가 사실상 없다. 이병호 학부장은 “교수들이 선행학습을 전제하지 않고 기초부터 차근차근 가르친다”고 말했다. 인재상 소통하며 ... ...
- 교내 대회의 의미와 중요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학종 시대’라고 불릴 만큼 입시의 대세로 떠오르고 있는 학생부종합전형. 이를 준비하기 위해 많은 학생들은 과목별 교과 학습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교 활동에 참여하며 자신의 노력과 열정을 쏟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각 학교는 다양한 교내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학생들이 해당 ...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자동으로 작가의 그림체로 바꿔 등장시킵니다. 위 사진과 그림처럼요. 비결은 컴퓨터과학자 이안 굿펠로우가 2014년 처음으로 제안한 ‘생성적 적대신경망(GAN)’입니다. 굿펠로우는 GAN의 원리를 지폐 위조범과 경찰의 대결로 설명합니다. 위조범은 가짜 지폐를 진짜처럼 만듭니다. 경찰은 처음엔 ... ...
이전6506516526536546556566576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