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가지"(으)로 총 7,9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파고의 묘수는 스타일… 이세돌戰 위해 분산처리 알고리듬 강화”2016.03.12
- 좌석이 다 들어찼을 뿐 아니라 통로에도 학생과 교수들이 자리를 잡았다. 드림홀에 들어가지 못한 학생들은 문 밖에서 강연을 듣기도 했다. KAIST 관계자는 “200명 들어가는 홀에 500명은 모인 것 같다. 대단한 인기”라고 말했다. 강연 중인 하사비스 사장. 통로는 물론 강연장 바로 앞 바닥에도 ... ...
- 구글, 너희가 인공지능의 최고라고? 천만의 말씀!2016.03.11
- 지향점은 조금씩 다르겠지요. 이들이 각자 어떤 인공지능을 내놓고 어떤 분야에 가지를 뻗어갈지, 최소 향후 5년 간은 좋은 관전거리가 되지 않을까요. ※ 필자 소개 최순욱. 대학을 졸업하고 전자신문, 매일경제신문 등 IT 전문 매체에서 인터넷, 미디어, 게임 등을 취재했다. 현재는 학교로 돌아와 ... ...
- LTE보다 1000배 빠른 차세대 통신망 시대, 곧 시작2016.03.11
- 준비하고 있다. 최호섭 제공 ● 5G의 3가지 핵심 기술 5G를 대표하는 기술은 세 가지다. 첫 번째는 20GHz대 이상의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다운로드 속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이번 MWC에서도 국내 통신사들, 그리고 에릭슨 등 네트워크 기업들이 20~25Gbps의 속도를 시연했다. 지금 쓰는 LTE보다도 10 ... ...
- [알파고 2승] AI, 그 끝은… ‘인공두뇌’2016.03.11
- AI 전문가들은 “AI의 최종 종착역은 인간의 뇌”라고 말한다. 알파고는 바둑이라는 한 가지 종목에서만 뛰어날 뿐 스스로 자신의 존재를 이해하고 작동하는 ‘자아’가 없다. 인간의 뇌는 AI로 따지면 자아를 인식하고 행동을 조종하는 중앙연산장치다. AI에 자아가 생기면 ‘강한 인공지능’이 된다 ... ...
- 바둑 다음은 스타, 알파고가 스타크래프트에 도전한다면? 2016.03.10
- 맞설까? 알파고에 맞설 인류를 대표하는 게이머는 누가 선정될까요? 바둑 대결과 마찬가지로 스타 강국인 한국의 프로게이머 중 한 명이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① 임요환 : 컨트롤 ★★★★☆ 끈기 ★★★★★ 임요환은 테란 황제로 불리우며 매 경기 꼼꼼한 컨트롤과 엄청난 끈기를 ... ...
- 우주서 빙글빙글 초대형 바람개비 2016.03.10
- 정령과 비슷하다). 곰이 자기 숲에 침범한 것에 몹시 화가 났던 모양이다. 숲의 대왕은 긴 가지를 팔처럼 뻗어 곰의 꼬리를 잡더니 빙빙 돌리다가 하늘로 냅다 내던졌다. 곰은 밤하늘의 별자리가 됐다. 숲의 대왕이 얼마나 힘껏 던졌는지 큰곰자리는 지금도 북쪽하늘을 빙글빙글 돌고 있다고 한다. ... ...
- [이세돌 vs 알파고]인간, 기계에 ’두뇌 싸움’ 패배(종합) 2016.03.09
- 생각을 해본 적 없나. 또 언제부터 형세가 불리하다고 생각했나. 이세돌: 오늘 두 가지 측면에서 놀랐다. (경기) 초반을 풀어내는 능력. 초반은 아무래도 알파고가 힘들지 않겠느냐 생각했는데, 예상과 달랐다. 두 번째는 승부수다. 중반부터 서로가 어려운 바둑이었는데, 사람으로 치면 자신이 ... ...
- 기술 정점 이룬 스마트폰, 패러다임이 바뀐다2016.03.09
- 선택한 건 분리형 모듈이었다. 기기 일부를 교체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LG는 두 가지 모듈을 발표했는데 하나는 B&O와 협력해서 만든 고급 오디오 재생 모듈, 그리고 다른 하나는 카메라를 좀 더 쓰기 쉽게 해주는 카메라 그립 모듈이다. 최호섭 제공 이 분리형 모듈은 재미있는 아이디어다. ... ...
- “직관력은 인간이 한 수 위” vs “컴퓨터는 긴장하지 않아”2016.03.09
- 꾸준히 성적을 내는 프로급으로 판단된다”고 평했다. 이번 대결의 승패는 포석 등 몇 가지 변수에 의해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알파고 같은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은 전통적으로 포석이 약하다. 이는 ‘경우의 수’를 따져 착수를 결정하는 바둑 프로그램의 한계이기도 하다. 즉 알파고가 ... ...
- ‘알파고’ 개발자 “아직 이세돌 9단의 기력(棋力)에는 미치지 못해”2016.03.09
- 뛰어난 바둑 실력을 갖추게 된 배경에는 정책망(policy network)과 가치망(value network) 등 2가지 인공신경망의 공이 크다. 정책망은 아마 5단급 바둑 기사의 기보 16만 건에서 3000만여 건의 바둑돌 위치정보를 통해 바둑기사들이 어떻게 돌을 놓는 지를 보고 최적의 수를 반복 학습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 ...
이전649650651652653654655656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