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d라이브러리
"
세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빛의 속도는 누구에게나 같다. 따라서 어떠한 운동을 하는 사람에게나 물리적으로 우
세
한 위치가 있을 수 없다.지구는 상하 좌우 전후가 대칭이므로 어디에서나 물리적으로 같은 것이다 ... ...
세
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고슴도치 유전자를 발견했을 때 위의 방식을 따르지 않았다. 그는 새로 발견한 유전자를
세
가(Sega)사(社)의 컴퓨터 게임에 나오는 등장 인물에서 따온 이름인 소닉 고슴도치(Sonic hedgehog)라고 지었다.다른 많은 과학자들은 새로운 이름에 반대하고 있다. 이런 이름을 짓는 것은 고상한 분자를 하찮게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밀도비는 주경이 작은 망원경과 같게 되어 두망원경은 같은 밝기이다.지금까지 f수를 자
세
히 설명한 이유는 망원경 선택에 있어서 f수가 망원경의 크기 못지 않게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망원경 하나를 갖고 아마추어 천문의 모든 일을 할 수는 없다. 자기가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할 ... ...
PART.2 쓸만한 타이틀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정도로 갖가지 종류의 타이틀이 개발되어 있거나 개발중인데 책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세
상만사가 분류되듯 CD-ROM 타이틀의 분류도 책의 분류만큼이나 복잡해질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기존의 책이 갖는 성격에다 영화나 비디오가 갖는 영상이 결합되고 여기에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적 측면이 ... ...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얼른 보아 생각하기로는 작은 눈동자에 흐린 눈썹은 서쪽 황해의 건너편으로부터,
세
로로 높고 가로로 좁은 이마와 큰 턱은 북방으로부터, 합죽이형의 꺼진 코허리, 넓은 코 유전자는 남쪽의 해로를 통해 이 땅에 들어온 것 같다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방법을 가지고 이 수수께끼에 도전하고 있다. 바다가 대부분을 흡수했다는 이론을 내
세
우는 사람들과 육지가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람들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누구의 주장이 옳은지는 앞으로 이 수수께끼에 새로이 도전하는 젊은 과학자들에 의해 분명히 밝혀질 것이다.하지만 중요한 ... ...
별 진화론 대폭 수정 돼야 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생성되든지 둘 중의 하나다. 두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지는 않는다.여기서 브라운과 베
세
의 주장이 표준이론과 차이를 보인다. 태양의 18-30배 질량을 가진 별은 초신성폭발도 일으키지만 핵에는 블랙홀이 남는다는 것이다. 이들은 파열하는 핵 내부가 초고밀도일 경우는 전자가 카온이라 불리는 음 ... ...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보고 있으나, 하안이 큰 얼굴에 대해서는 별로 호감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이런
세
타입 간의 형태구성에 나타나는 수량적 차이는 얼굴의 다른 부위에서도 찾기 어렵지 않다. 이마에 해당하는 상안부를 보더라도 이마의 가로폭의 넓이(全額幅)에서 미인형이라고 응답한 형에서는 호감이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힘들지도 모른다. NASA는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관련 예산이 연간 7억 달러 이상으로
세
계에서 가장 큰 천문학 연구의 스폰서다. 그러나 이 혜택은 과학의 발전에 그다지 이바지하지 못하면서 연구비용만의 증가 경향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1980년대 NASA는 문제 투성이에 발사 지연마저 ... ...
근시교정 엑시머레이저 수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금물이라고 한다.어찌됐건 시술환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추
세
다. 문제는
세
월이 지난 후다. 아직까지 큰 부작용이 없다고 하더라도 평생을 사용해야 하는 눈에 칼집을 낸 것이 부담이 되지 않은 수는 없다는 게 일반적인 지적. 특히 이 시술법이 개발된 뒤 임상을 거친 역사가 워낙 ... ...
이전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