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활발한 기술투자와 연구 한국의 유전자 산업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투자면에서 국내기업의 수준은 미·일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져 있다. 특히
생물
학의 기초연구분야에서 깊은 갭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여건으로는 선진국 기술의 모방단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어두운 견해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실험실에서의 유전자조작 기술은 ... ...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작은 미
생물
과 수서동물이 잘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일이다. 즉 이러한 모든
생물
이 살 수 있는 환경이 되어야 새들도 살아갈 수 있는 좋은 조건이 되는 셈이다. 철새나 텃새들이 찾아올 환경이라는 것은 먹이 휴식처 잠자리 번식장소 이동경로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조건들을 말한다. 최근 ... ...
천문학자 칼 세이건 최고의 인기, 돈, 명예…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나르게 되는것. 여기서 '세이건'은 이 우주 어느곳에 우리 인간과 같은 지적(知的)
생물
이 살고 있다면, 이 '파이오니어' 우주선을 거두어들일 때가 있지 않을까 생각하여, 그 탐사선에 〈지구인이 E.T.에게 보내는 편지〉를 만들어 실은 것이었다. 그림은 당시 '세이건'의 부인이요 화가이기도 했던 ... ...
PART ③ 막대한 하수처리수의 방류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약 50% 이상 감소될 것이 예상되어(표3), 노량진 수역의 수질오염도가 85년도의 BOD(
생물
화학적 산소요구량) 4.7ppm에서 88년도에는 3.0ppm 이하로 크게 개선되고 노량진 수역까지 상수원수2급수질이 유지되어 어족의 서식에 지장이 없게 될 뿐 아니라 수영 등의 수상이용에 장해가 없게 될 것이다. 한편 ... ...
환경감시의 첨병 20년 연세대 환경공해 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전문분야는 약학 이학 공학 생화학 의학 무기화학
생물
학 화공학 기상학 기생충학미
생물
학 등 자연과학 분야와 법학 행정학 사회학 등 광범위하게 망라되었다. 여기에 전문연구원을 보조하는 대학원과정 연구원들도 동원되었다. 설립 이래 권숙표 교수(연세대의대·약학)가 소장을 맡아오다 금년 ... ...
PART 1 두뇌는 어떻게 작동하나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형성, 수초의 형성을 경험하고 사춘기가 되면서 저하한다. 이러한 과정들은
생물
체의 환경에 의해서도 변화한다. 풍요한 환경은 뇌의 발육에 크게 공헌한다. 뇌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주변 환경이 억눌림을 받게 되면 퇴화될 것이다. 뇌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한 전기화학적 기계라 하였다. ... ...
석회동굴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이 없어지는 대신에 촉각 등 감각기관을 발달시키고 있다.또한 영양분이 적으므로 동굴
생물
들은 영양이 빈약하여 토양동물이나 거미류, 수생갑각류(水生甲殼類)등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몸통이 작고 흰빛을 띠며 더듬이가 길고 눈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 ...
문화재의과학 발굴·복원·연대측정의 방법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살균·살충처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침투성이 우수하므로 문화재 깊숙한 곳에 있는
생물
에까지 쉽게 도달할 수 있어 효과가 빠르다. 물속이나 늪지에서 출토퇸 목재유물은 상당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수분이 증발되면서 수축현상이 발생, 원형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수축현상을 막아주는 ... ...
하루 두 세잔의 커피는 걱정할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커피 한잔이 하루의 수명단축'이라는 표어가 마구 나돌았다. 그러나 최근의 분자
생물
학의 발달로 커피는 건강한 성인이 하루 2~3잔 마실 경우 전혀 해롭지 않다고 주장되기에 이르렀다. 물론 이런 주장이 미래에 또 비판받고 뒤집혀 질지 모른다. 그러나 80년대 중반인 이 시점에서 그런 비판론은 ... ...
물질특허의 도입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계기로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한편 한국과학기술원 부설 유전공학 센터에 유전자은행을 설치하고 국립보건원 산하에
생물
검정체제를 설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도 기술개발을 부추기기 위한 세제와 금융지원이 요청되지만 기업도 기술개발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해야 할 중대한 시기에 와 있는 것이다. 기업의 ... ...
이전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