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몸"(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도처에 있는데, 밀양의 얼음골 근처에도 얼음굴이 있다. 동의보감을 지은 허준이 스승의 몸을 해부하고 사체를 저장했다고 전하는 곳이 바로 그 얼음굴이다.송교수는 "얼음골이든 얼음굴이든 생성매커니즘을 잘만 이용하면 겨울의 냉열을 적절한 매체에 잘 저장했다가 여름에 냉방용으로 사용할 수 ... ...
- 2. 몸 곳곳을 누비는 통증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병적 원인이 없어도 생리통을 경험한다. 하지만 25세 이상의 여성에게 찾아오는 생리통은 몸에 다른 이상이 있어 생기는 경우가 많다.어떤 여성들은 월경이 시작되기 2주일 전부터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때 유방이 팽만해져 느껴지는 압박감, 팔다리가 붓는 느낌, 피로감, 긴장이나 우울증과 ... ...
- 오토매틱 - 편한 만큼 위험할 수 있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좌석은 충돌 등 사고를 대비해 승객이 가장 안전할 수 있도록 디자인됐다. 돗자리를 깔면 몸이 쉽게 미끄러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사고가 나 차가 심하게 찌그러져도 시동치 부분등이 운전자의 무릎부분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설계했다고 치자. 양털등으로 운전자의 위치가 바뀌면 ...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몸 이상 알리는 적신호 위험 경고하는 통각신경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있다. 이를 통각감소 또는 무통각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운동을 많이 했을 때는 몸이 피로해도 통증을 느끼기보다 기분이 좋은 경우다. 이는 운동할 때 엔돌핀과 같이 통증을 완화시키는 호르몬에 분비되기 때문이다. .또 주의를 다른 것에 집중시키고 있을 때나 전쟁터와 같은 극단적인 ... ...
- 3. 통증을 정복한다 : 우리 몸에는 '천연아편' 이 존재한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부신(副腎)에서도 발견됐다. 하지만 이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곳은 역시 뇌다.몸속에 아편성 물질이 점차 많이 밝혀지자 중추신경계에서 통증이 어떤 회로를 거쳐 전달되는지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그결과 아편성 물질과 유사한 화합물을 만들어 중독성 등 부작용을 최대한 줄이면서 인간의 ... ...
- 3. 통증을 정복한다 : 통증 극복하는 하이테크 의술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진통제를 투여하면 마취에서 깨어난 뒤에도 수술에 의한 통증을 거의 모르고 바로 몸을 움직일 수 있어 회복이 매우 빠르다.하지만 마약성 제제는 부작용과 더불어 내성이 빨리 생겨 환자가 요구하는 양이 급속하게 증가된다. 그래서 아무리 말기 암환자라 해도 마약에만 의존하지 말고 다양한 ... ...
- 능란한 화술, 지능적 의사소통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가던 개미가 앞서 가는 개미를 놓치기도 한다. 앞서가던 개미는 동료의 안테나가 자기 몸에 건드려지지 않으면 걸음을 멈추고 뒤돌아서 동료를 찾는다. 동료가 잘 따라오지 않을 때는 입으로 물며 끌어당기기도 한다. 이러한 행동을 병렬주행(tandem running)이라 부르는데, 어떻게 이런 비효율적인 ... ...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의 근육이 길항근과 함께 번갈아 수축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움직임으로 몸이 피로할 때나 또는 정신적으로 너무 과민할 때에 자주 나타난다.수면을 충분히 하고 심신의 건강을 회복하면 저절로 소실되는 것으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용어설명디옵터와 시력디옵터는 렌즈의 초점거리를 ... ...
- 동맥경화 해결사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성분으로서, 인체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노릇을 한다. 또 음식으로 섭취하거나 몸안에서 생성된 콜레스테롤은 성호르몬, 부신피질 호르몬 등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원료물질이 되기도 한다.지질은 인체에 매우 중요한 물질이지만, 혈중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동맥경화와 같은 병적 ...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병은 나아도 고통은 남는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낳을 때 산모가 느끼는 통증은 암으로 인한 것보다 더 크다고 한다. 더욱이 분만통은 몸에 무슨 병이 있어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는 말은이미 병의 원인이 제거됐음을 의미한다. 이때 통증만을 별도로 '떼어내' 없앤다면 환자로서는 더 이상 바랄것이 없다 ... ...
이전649650651652653654655656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