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콜레라균 꿀꺽 마신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없다.그러자 페텐코퍼는 자신의 이론을 더욱 강력히 주장했다. 하지만 이후 계속된
실험
에서 콜레라균이 포함된 음료수를 마신 그의 제자에게 콜레라가 발생하자 코흐가 발견한 비브리오 콜레라균이 콜레라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2월 23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연구팀은 가장 흔한 다섯가지 쓴맛을 내는 분자를
실험
용 쥐의 혀에 차례차례 댄 뒤 반응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쓴맛을 느끼는 미각세포의 65%는 단 한종류의 쓴맛만을 감지해냈으며, 26%는 두종류를 알아냈다. 두종류 이상을 감지해낸 세포는 7%에 불과했다.로퍼 ... ...
다이어트의 새로운 돌풍 비만약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시부트라민, sibutramine)은 원래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됐던 약이다. 그런데 임상
실험
을 하던 환자군에서 체중이 감소했다는 사실을 발견해 오히려 비만치료제로 개발됐다.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면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혈중농도가 높아져 신경세포 말단에서 분비되고 이 정보는 다음 ... ...
고등학생이 개발한 수화번역장갑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 IBM 연구소의화학자를 소개해 주시더군요. 그로부터 기초지식 과제가 했던
실험
에대한 여러가지 조언을 받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됐죠.”단지 교사만이 학생들의 연구활동을 장려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미국 과학기술계가 학생연구활동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이다.미국의 풍성한 ... ...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탐구 과정’에서는 과학 연구의 과정이‘의문 → 가설 설정 →
실험
설계 →
실험
수행 → 검증’의 절차를 거친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런데 가설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귀납을 사용하는지, 창조적인 상상력이 필요한지 등에 대해서는 서술하지 않고 있다.생각해볼문제■가장 흥미있는 과학 분야는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해외의 과학자들은 조교수의 이론을
실험
으로 검증하고 있다. 그리고 조교수와 함께
실험
결과를 해석한다. 엄청난 숫자로 이뤄진 정보를 제대로 해석해내는 것이 이론의 또다른 역할이기 때문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그의 이론은 가설의 껍질을 벗고 견고한 과학적 이론으로 거듭날 것이다 ... ...
표면장력이 부리는 물의 마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흐르는 물을 한줄기로 모을 수 없을까. 물의 표면장력에 그 비밀이 숨겨있다.뚝딱
실험
1 따로 또같이 흐르는 물줄기왜 그럴까?!물분자들은 서로 뭉치려는 응집력이 강하다. 때문에 따로 흐르는 물줄기들을 손가락으로 합해주면 물끼리 잡아당겨 한줄기로 흐를 수 있다. 물의 표면장력이 크다는 ... ...
[과학뒤집기 시리즈 1] 드디어 빛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설명까지 곁들어져 있다.또 생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만으로도 가능한 과학
실험
과 활동도 소개돼 있어 선생님과 학생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선생님도 놀란 과학 뒤집기’ 시리즈 첫번째 ‘드디어 빛이 보인다!’는 이제야 ‘빛’을 제대로 볼 수 있게 됐다는 감탄의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지나친 자극이죠. 제가 했던 동물
실험
도 정말 끔찍했답니다.성래_
실험
실에서
실험
용 쥐를 많이 죽일 경우 나중에 위령비를 세워 주는 사례도 있더라구요. 물론 동양적인 거겠죠.충환_ 사람이 진짜 안보이면 악해지기만 할까요. 그런 측면을 함께 생각해 볼만하지 않아요?상준_ 타고난 천성에 따라 ... ...
거울 보는 돌고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비춰보는 행동을 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다이애나 래이스는 “이번 돌고래
실험
은 돌고래의 지적 능력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연구결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종을 넘어서 동물들의 지적 능력을 비교·측정해 특성화시킬 수 있는 작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지금까지 ... ...
이전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6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