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스페셜
"
잘못
"(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특징을 띠는 메탄올을 제거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특히 증류주의 경우 증류 조건을
잘못
맞추면 메탄올의 상대적인 농도가 더 높아질 수도 있다. 아무튼 술을 마시면 메탄올도 에탄올처럼 먼저 알데히드로 대사되는데 이렇게 나온 포름알데히드가 몸에 보통 해로운 게 아니다. 게다가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아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17일자에는 2003년 논문의 데이터 해석이
잘못
됐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미국 콜로라도대 심리학/신경과학과 토어 웨이거 교수팀은 fMRI 데이터의 해상력을 높이고 새로운 분석기법을 도입해 신체적 고통과 사회적 배제 경험을 했을 때 뇌활동 패턴을 ... ...
[생활 속의 기술] 제습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KOITA
l
2014.12.01
급증했다. 하지만 아직 보편적으로 사용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아서일까, 제습기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오해가 제습기를 가동시키면 습도가 낮아져서 서늘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제습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꼼꼼하게 따져보자. 오해와 진실 1. 습도만 낮추면 ... ...
1인 1주치의 시대를 위한 Connected Doctor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SMS 서비스 잔병치레보다 더욱 사소한 의학상담이 필요할 때도 많다. 아이가 무언가를
잘못
삼켰다거나 두드러기가 날 때, 혹은 임산부에게 갑자기 조금 불편한 증상이 나타날 때가 있다. 이런 때에는 보통 전문가의 한 마디가 큰 도움이 되고 아예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도 많다. First opinion은 바로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최근 정부가 간질 대신 ‘뇌전증’이라는 용어를 쓰기로 했다는 발표를 했다. 간질이
잘못
된 표현은 아니지만 워낙 사회적인 편견이 심해 불가피한 일이라고. 글 앞에 인용한 문구는 캐나다 신경과학자 라젠드라 케일이 1997년 학술지 ‘영국의학저널’에 쓴 사설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로, 지난 100년 ... ...
[채널A] ‘가시 공격’ 내향성 발톱 급증…예방법은?
채널A
l
2014.07.22
질병입니다. 내향성 발톱 환자 수는 최근 4년 사이 20% 이상 크게 늘었습니다. 발톱을
잘못
깎아 염증이 생기거나 샌들이나 등산화 같은 발이 꽉 조이는 신발을 오래 신는 것이 주 원인입니다. 놔뒀다간 통증 때문에 걷기조차 힘들고 발톱을 절단하는 수술을 받기도 합니다. [인터뷰 : 이상준/정형외과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배워 안 좋은 습관이 들면 나중에는 오히려 발전을 방해한다. 그래서 지도자들은 습관이
잘못
든 중급자들보다 차라리 초보자를 더 선호하기도 한다. 분야를 막론하고 독학한 사람이 대성하기 힘든 이유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필자 역시 안 좋은 습관이 꽤 되는데, 점심과 저녁을 먹고 난 뒤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원주민의 풍습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선원들은 만취하여 서로 싸움을 하고,
잘못
된 우월감을 가지거나 원주민 여성들의 뒤꽁무니를 쫓아다니기 일쑤였지만 큰 말썽 없이 하와이를 출발하여 탐험에 나설 수 있었다. 그러나 태풍을 피해 다시 하와이로 들어왔을 땐 과거에 쿡의 부하들이 ... ...
IBS 미녀들의 수다
IBS
l
2014.05.14
"특히 인사와 관련된 부분은 상당히 민감한 부분이라 작성한 측의 의미를 조금이라도
잘못
전달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내용 이해하려 최대한 많은 자료 수집 이들은 연구 관련 인터뷰나 간담회에서 동시통역을 맡는 일도 종종 있다. 지난 4월 11일에는 연구단장 간담회에서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약효(수개월 수명 연장)가 인정돼 승인된 릴루졸 조차도 효과가 없었다. 페린 박사는
잘못
된 동물실험 데이터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한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2008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는 정신분열증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리튬이 루게릭병 동물모델인 생쥐의 수명을 30일(1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