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못"(으)로 총 7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2015.02.23
- 200명을 살릴 수 있다. 2. 프로그램B를 실행하면 600 가운데 살릴 확률이 3분의 1, 살리지 못할 확률이 3분의 2다. 맥락상 이게 조삼모사의 상황이라고 섣불리 판단하지 말기 바란다. 앞은 확정적인 표현이고 뒤는 불확실한 표현이다. 조사결과 72%가 프로그램A를 선택했다. 기대치가 같을 때 사람들은 ...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2015.02.16
- 것. 세 번째 서신은 논문이 적용한 줄기세포 분열 횟수 데이터도 믿을 만한 게 못 된다는 주장이고 그 다음 서신은 암 예방 노력은 여전히 매우 중요하며 줄기세포 분열과 오류 횟수가 단순히 시간과 우연의 곱은 아니라고 언급했다. 1월 2일자 논문의 저자인 토마세티와 보겔스타인은 한쪽 반 ... ...
- [Tech & Design] 놀라운 인공물질들KOITA l2015.02.09
- 영국은 격파된 상선들을 보충하느라 항공모함은커녕 구축함도 제대로 만들지 못할 정도였다. 그렇다고 상선 제작을 멈췄다가는 섬나라인 영국으로서는 그냥 말라죽기를 기다리는 꼴밖에 되지 않았다. 문제는 유보트를 잡으려면 초계기를 띄워서 감시해야 하는데, 그러자면 항공모함을 만들어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2015.02.02
- 사라지자 대형 사슴인 로키산엘크의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어린 포플러 나무가 남아나지 못해 숲의 4~6%를 차지하던 포플러가 20세기 말에는 1%로 줄어들었다. 그런데 늑대가 돌아오면서 늑대가 주로 다니는 개울가 주변의 포플러의 키가 커졌다는 것. 연구팀은 그 뒤 버드나무와 미루나무에서도 같은 ... ...
- [만화] 9시 등교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KISTI l2015.02.02
- 좋은 계기가 된 것만은 사실이야.” “헐, 그럼 저도 고등학교 가면 5시간밖에 못 자는 거예요? 그러기 진짜 싫은데…. 외국 청소년도 저희처럼 수면 부족이에요?” “우리보다는 덜하지만, 어느 정도는 그런 것 같더구나. 미국소아과학회(AAP)에서도 얼마 전 청소년의 수면 시간을 늘리기 위해 등교 ... ...
- [Tech&Design] ‘특별하게 이상한’ 자동차들KOITA l2015.02.02
- 의외로 사장인 페트루치오 람보르기니는 베르토네의 반응을 마음에 들어해서 그 점잖지 못한 감탄사를 그냥 이름으로 정했다나. 이름부터 '스페인 투우에서 활약한 황소나 투우사의 이름에서 따 온다'는 람보르기니의 작명방식에서 벗어난 이단아였던 셈. 결론부터 말하면, 람보르기니의 모험은 ... ...
- [혁신의 열쇠] ‘십대의 낙관’으로 췌장암 조기진단에 성공하다KOITA l2015.01.26
- 검사로 암을 발견하기 어렵다. 췌장암 환자의 85%가 암 말기에 진단받고, 생존 확률도 2%에 못 미친다는 게 불편한 진실이다. 그런데 2년 전 미국의 한 고등학생이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기발한 기기를 만들었다. 1997년 미국 메릴랜드에서 태어난 잭 안드라카(Jack Andraka)가 그 주인공이다. ... ...
- 친환경 에너지 타운에 전통녹색기술 접목하자동아사이언스 l2015.01.14
- 통해 서울의 기온이 낮아지고 새로운 관광 명소로 변모한 결과를 볼 때, 현대적인 도랑과 못을 다시 만들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회적‧과학적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 심지어 친환경 에너지 타운이라는 새로운 개념에 전통녹색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정책적 제언과 실증이 ... ...
- [만화] 우황청심원은 시험의 긴장을 풀어줄 수 있나?KISTI l2014.12.22
- 가끔 먹어봤던 사람이 아니라면 차라리 먹지 않는 게 낫다는 게 아빠 생각이야. 잘못 먹었다간 오히려 낭패를 볼 수도 있거든.” “네에? 제 친구 큰오빠가 그거 먹고 완전 시험 잘 봤다던데요?” “물론 그럴 수도 있지. 우황청심원은 진정·안정 작용을 하는 한방 구급약인데, 열을 내리고 기혈이 잘 ... ...
- 친환경 타운의 미래지향적 모델 제시한다동아사이언스 l2014.12.19
- 기상이 안 좋아 전기가 모자라면 한전 배전망을 활용할 수 있지만, 열에너지는 그렇지 못하다며 계간 축열 시스템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태양열의 경우 여름에는 얻는 열이 많고 쓰는 열은 매우 적은 반면, 겨울에는 일사량이 적지만 사용하는 열은 많다. 이런 계절적 불일치를 해소하고 연중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