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
곱
뉴스
"
2배
"(으)로 총 6,191건 검색되었습니다.
난치성 질환 치료 천연물, 한 차례 합성으로 수 배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01
연구를 이끈 한순규 교수(왼쪽), 강규민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오른쪽).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약용식물 '광대싸리' 추출물로 난치성 질환 치료제로 쓰일 수 있는 물질을 간단하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는 한순규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국내 자생 식물인 광대싸리에 극미량 존재하는 천 ... ...
수소생산
2배
…고온 수전해 전지용 ‘나노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1.30
데 성공했다. 개발한 나노촉매를 고온 수전해 전지에 적용한 결과, 수소 생산량은
2배
이상 늘어났고 650도에서 400시간 이상 성능 저하 없이 작동했다. 대면적 수전해 전지에 적용했을 때도 안정적으로 구동돼 상용화 가능성이 확인됐다. 윤 책임연구원은 ”나노소재를 고온 수전해 기술에 ... ...
[과기원NOW] 포스텍, 전하 이동 막아 정전기 센서 성능 오래 유지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9
김진곤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왼쪽)·정운룡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오른쪽)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김진곤 화학공학과 교수·정운룡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전하의 이동을 막아 정전기 소자 센서의 성능을 오래 유지하는 방법을 찾아 국제 학술지 '나노 에너지'에 9월 게재했다고 2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에르빈 슈뢰딩거. 위키미디어 제공 "내가 만들어낼 수 없는 것은 내가 진정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 리처드 파인만 얼마 전 동네 도서관에서 ‘새로 들어온 책’ 코너를 둘러보다 ‘기계 속의 악마’라는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생명은 어떻게 물질에 깃드는가’라는 부제를 보니 생명의 기원 ... ...
"당뇨환자 흡연하면 췌장암 발병 위험 2.7배 증가"
연합뉴스
l
2023.11.28
연합뉴스 제공 혈당 수치가 높은 환자가 흡연하면 췌장암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산병원은 박주현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종합암네트워크저널(Journal of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Impact Factor = 13.4)) 11월호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 ... ...
한국 연구진, 세계에서 가장 작은 고성능 '나노레이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빛의 각운동량을 조절하는 것은 첨단광학의 주요 관심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세계에서 가장 작은 고효율·초소형 나노레이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빛의 특성을 제어하는 방법은 최근 첨단과학 분야에서 각광받는 연구 주제다. 빛의 각운동량을 조절해 대용량 광통신이나 ... ...
쾌감 부르는 신경물질 '도파민' 실시간 측정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1.27
면에 놓고 상대 전극을 다른 한쪽 면에 설치했다. 이를 통해 기존 단면 구조 탐침보다
2배
가량 넓은 전극 면적을 확보했다. 전극의 면적이 클수록 도파민 측정 능력이 높아진다. 이같은 양면구조 탐침처럼 전극이 탐침의 양면에 위치할 경우 탐침의 중립층과 전극 사이가 멀어지면서 전극이 ... ...
백신 '0회 접종' 어린이, 예방 가능 질병 사망의 절반
동아사이언스
l
2023.11.26
홍역으로 인한 사망은 2022년 기준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 올해는 이 수치에 또 다시
2배
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주로 아동에게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는 홍역 또한 예방 가능한 백신이 있다.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에 의하면 백신을 단 한 번도 맞은 적이 없는 ‘0회 접종 어린이’는 ... ...
지구·달 거리 40배 우주서 광통신 수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11.26
금속 행성인 소행성 프시케를 묘사한 일러스트레이션.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먼 우주에서 지구로 레이저 광통신을 처음으로 성공했다. 향후 NASA가 심우주를 탐사하고 우주 기원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CNN의 24일 보도에 따르면 지구에서 1600만km 떨어진 우주에 ... ...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페루세투스’가 알려주는 것
과학동아
l
2023.11.25
페루세투스, 페루세투스와 사람의 크기를 비교한 일러스트. 빨간색으로 표시된 뼈는 실제 발굴된 뼈를 의미한다. Alberto Gennari, Giovanni Bianucci 제공 지구상에 나타났던 가장 큰 동물은 뭘까. 긴 목을 휘두르는 용각류 공룡? 바다괴물 ‘크라켄’을 닮은 대왕오징어? 정답은 대왕고래(흰긴수염고래)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