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동기선
보트
보우트
동력선
모터보트
함재정
작은보트
뉴스
"
작은배
"(으)로 총 1,303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 무인화물선, 세계 첫 화물운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영국 무인 화물선 '시 키트'가 세계 처음으로 원격 조종만으로 바다 건너 화물을 운송하는 데 성공했다. 시 키트 인터내셔널 제공 영국 무인 화물선이 원격 조종만으로 바다를 건너 화물을 운송하는 데 성공했다. 무인 화물선 운영회사 측은 “북해에서 자율 선박을 활용한 최초의 상업 횡단 사례” ... ...
‘빛의 풍차’가 우주먼지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8
지름 수십nm의 고운 우주먼지의 존재는 천문학의 미스터리 중 하나였다. 국내 연구팀이 강한 빛이 우주먼지를 회전시켜 더 고운 먼지로 만드는 과정을 밝혔다. 사진제공 한국천문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초신성 등 천체에서 나온 강력한 빛이 우주에 떠다니는 입자를 풍차처럼 회전시키고, 그 회전력 ... ...
[애니멀리포트] 반려동물 고슴도치에게 겨울잠은 해가 된다
2019.05.04
고슴도치는 천적을 만나면 몸을 둥글게 말아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행동을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고슴도치는 1500만년 동안 비슷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변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나 최근 유럽에서는 도심의 공원이나 집 마당에서도 흔히 만나는 동물입니다. 프랑스 도시에 사는 고슴 ... ...
어린이 차량사고 막는 마법의 노란양탄자 "효과도 눈에 띄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4
2015년 3월 서울 성북구 길원초등학교에 설치된 1호 옐로카펫의 모습이다. 옐로카펫 홈페이지 5월에는 어린이의 날(5일)도 있지만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나는 달 중 하나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어린이 교통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은 5월과 8월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에서는 어린이 ... ...
다이어트 방해하는 '뇌'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체지방률이 높은 사람일수록 뇌에서 회백질 부피가 작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회백질 중에서도 특히 음식에 대한 보상회로와 운동을 담당하는 영역이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물만 먹어도 살이 찌는 것처럼 쉽게 비만이 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남들보다 배로 ... ...
기능성 촉매 성능 높일 금속나노 입자 제어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김봉중(왼쪽)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정우철(가운데) KA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고온에서 서로 뭉쳐지지 않는 금속 나노촉매 입자의 생성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로 연료전지와 가스센서에 쓰이는 기능성 촉매 소자의 내구성과 활성을 높일 것으로 기 ... ...
두 개의 태양 뜨고 지는 케플러-47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미국 천문학자들이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찾아낸 세 번째 행성 '케플러-47d'(가운데). 2012년에 발견된 두 행성보다 각각 4.7배, 3.1배 더 크며, 두 행성이 별을 공전하는 궤도 사이에서 공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NASA/JPLCaltech/T. Pyle 제공 지구로부터 약 3340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두 개의 태양이 뜨고 지는 ... ...
백두산 지진 지난해 2배 늘어…"서울도 영향권 공동연구 서둘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북한을 포함한 국제공동연구진은 2016년 백두산 마그마방의 존재를 최초로 규명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사진은 당시 촬영한 백두산의 모습. - Science Advances 제공 휴화산이던 백두산 주변 지진 횟수가 지난해 전 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는 ... ...
‘안정성 세계 최고’ 수소 생산용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연구를 주도한 UNIST 연구자들이 모였다. 왼쪽 앞부터 시계 방향으로 박혜성 교수, 김창민 연구원, 김건태 교수, 오남근 연구원. 곽상규 교수는 촬영에 함께 하지 못했다. 사진제공 UNIST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 가운데 물에 전기를 흘려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물 전기분해(수전해)’ 기술이 있다. ... ...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관측을 통해 얻은 최초의 블랙홀 영상. 사진제공 EHT 인류가 ‘블랙홀’의 핵심부를 영상으로 확인하는 데 사상 처음으로 성공했다.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을 제시하면서 처음 개념이 등장한 블랙홀의 존재를 직접적인 증거를 통해 눈으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를 이끈 쉐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