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뉴스
"
입자
"(으)로 총 2,871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01.07
하나를 굴리는 것만큼이나 정교한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 다채로운 기분을 가진
입자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이 정밀한 STM 관측에 몰두하는 이유는 원자나 분자를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큐비트(qubit)’로 이용하기 위해서다. 동시에 큐비트가 나아가야 할 길을 짚는 연구 또한 ... ...
5분만에 코로나 진단...초고속 PCR 검사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PCR 구동장치에 적용해 열판이 없는 소형 PCR 구동장치 개발에 성공했다. 나아가 마이크로
입자
여러 개를 한 번에 진단하는 다중진단 기술을 구현해 한번의 PCR로 여러 종류의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를 구분했다. 김상경 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초고속 PCR 기술을 올해 내 소형화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 ...
원자력연 "올해 소형원전 스마트·i-SMR 등 선진 원자로 집중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가동일이 85일에 그칠 정도로 가동률이 낮았다. 경주 양성자가속기연구단은 올해부터
입자
빔 기업지원센터 입주를 시작해 산업 활용도를 높일 예정이다.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은 "2023년 세계를 선도하고 국민에게 다가가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재도약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의 응원과 ... ...
결핵 mRNA백신·유전자가위 치료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표준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발견됐다는 것은 표준모형의 17개
입자
외에 새로운
입자
가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다. 지난해까지 4번의 실험이 진행됐고 올해 마지막 실험이 예정돼 있어 더 정확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 ... ...
[우주탐사 시대 활짝] 우주궤도 설계·관제·심우주 통신...'다누리' 기술력 증명
2022.12.28
관측할 수 있다"며 "크게는 탐사목적, 나중에는 달 기지에 로버를 내려서 운영하려면
입자
의 크기를 알려면 그 지역에 딱 맞는 임무설계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145일 전 지구를 떠난 다누리호가 달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며 “한국이 전 세계에 ... ...
종이접기 하듯 DNA 접어 버섯·클로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설계도(위)에 따라 3차원 DNA 구조물을 제작해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미국 듀크대와 애리조나주립대 등 공동연구팀이 DNA를 이용해 나노미터 수준으로 ... 교수는 "이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약물전달체나 태양전지·의료영상기기에 활용할 수 있는 금속나노
입자
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 ...
고체전해질
입자
크기 1/10로 만드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재결정화되어
입자
크기가 작아진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용매 치환으로 고체전해질
입자
크기가 8㎛에서 0.8㎛ 수준으로 작아지더라도 이온 전도도를 85%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극성 용매의 주입 속도와 노즐 크기, 무극성 용매의 온도 및 혼합 속도 등 공정 조건을 ... ...
세포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12.24
외부로 분비하는 물질이 ‘세포 밖 소포체’이다. 이 중에서도 지름 40~160nm 사이의 작은
입자
를 ‘엑소좀’이라 부른다. doi: 10.1126/science.aau6977 엑소좀은 최근에야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처음 발견된 1980년대 초만 해도 엑소좀은 세포가 버린 노폐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 연구를 통해 엑소좀이 ... ...
양자정보기술 연구에 날개 달아줄
입자
제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그동안 단일 전자원은 전류 단위인 암페어의 정의를 구현하기 위해 개발됐다. 움직이는
입자
를 토대로 하는 양자기술 연구는 단일 전자가 아닌 단일 광자를 활용한 방식이 대세였다. 기존 단일 전자원은 양자 현상을 관측하거나 전자와 정공을 분리하는 데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 ...
[사이언스얼라이브]"외계어 같은 과학용어…친절한 설명 위한 공동노력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2.12.20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한 단어가 많다"고 말했다. 일례로 '양자화됐다'는 용어는
입자
물리학자들에게는 익숙한 표현이지만 일반인에게는 한 번에 의미가 와닿지 않는다. 과학용어가 통일돼 있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외국어와 한국어가 혼재해 쓰이거나 한국어로 된 용어가 여러 가지라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