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뉴스
"
여러
"(으)로 총 9,25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력한 PM이 혁신 주도"…KIST, 임무중심연구소 PM에 인사평가권·예산권 부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보고 평가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직원이
여러
실패를 했어도 임무를 위해 노력했다면 PM이 좋은 평가를 줄 수 있는 셈이다. 다만 PM이 가용할 수 있는 예산이 얼마나 되고 어디까지 분배할 수 있는지는 연말에 확정되는 과기정통부 예산안에 따라 그 ... ...
[과기원NOW] KAIST, 항암제 효과 평가할 종양모델 칩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랩온어칩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복잡한 종양 미세환경이 구현된 랩온어칩을 개발해
여러
분석 변수가 반영된 약물 스크리닝을 수행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바이오프린팅의 공간적 자유도와 다양한 생체재료 활용도를 이용해 3가지 서로 다른 조성으로 이뤄진 36개의 종양 ... ...
"프로포폴, 뇌 흥분시켜 정신 잃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메커니즘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프로포폴을 비롯한
여러
마취제가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 메커니즘을 방해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동적 안정성이란 뉴런이 새로운 입력에 반응할만큼 흥분하면 뇌가 빠르게 통제력을 되찾고 과도하게 흥분하는 것을 막는 것을 ... ...
그 많던 맹꽁이는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13
건널 수 있도록 생태통로를 만들거나 안전한 길로 유도하기 위한 그물망을 설치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요. 하지만 도로와 닿아있는 모든 서식지를 완벽하게 막는 것은 불가능할 뿐더러 또 다른 생태 단절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최선의 해결책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양서류를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건물이 무너지고 약 15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유례없던 강력한 지진에 과학자들은
여러
가설을 제시해왔는데요. 폭우와 폭설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5월 8일 국제학술지에 발표됐습니다. 2024년 1월 1일 발생한 노토 지진은 2011년에 발생한 관동 대지진 이후 처음으로 일본 내륙에 발생한 7.5 ... ...
[푸드테크 뜬다]⑥ 씹지 않아도 되는 고기에 분말 죽까지…'고령친화식품'의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기억력과 실행능력 등 인지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었다. 현재
여러
고령친화식품 기업들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을 대상으로 수출 시장을 넓히기 위해 시장 조사를 하고 있다. 이들은 "고령친화식품 산업이 더욱 발전하려면 실수요자가 많은 요양원, 병원, 무료급식소 등에 ... ...
한국형 소형원자로 'SMART100' 표준설계인가 심사 결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11일 밝혔다. 한국형 소형모듈원자로(SMR)인 SMART는 기존 대형 원전보다 출력 규모가 작고
여러
설비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차세대 원자로다. SMART100은 2012년 이미 표준설계인가를 받은 SMART에 안전계통을 새로 적용해 안전성을 향상하고 출력을 약 10% 늘려 경제성을 높인 형태다. 보고에 따르면 원전 ... ...
[동물do감] 반려돼지, 주인에 대한 '애착행동' 안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때와 특별히 다른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애완용 동물로 길러지는
여러
동물 중에서도 개만이 인간에 대한 의존성과 협력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했다"며 "당초 인간이 개를 사육하기로 선택한 것도 이러한 특성에 기반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10.1038/s41598- ... ...
다이어트약 부작용 '메스꺼움' 없앨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을 모방한다. 뇌의
여러
영역에는 GLP-1과 결합해 작용을 매개하는 GLP-1 수용체가 있는데 각 수용체가 약물 효과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는 완벽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 ...
손상된 근육에 뿌리면 지혈·회복…'가루 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이재영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가루형 수화젤의 사용 과정. 혈액·체액 등을 흡수해 지혈과 회복을 돕는다. GIST 제공 ... 며 "신체 조직과 유사한 기계적 성질이 있어 조직 지지체(스캐폴드), 조직 재생 등
여러
생체재료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