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세로"(으)로 총 7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번엔 진짜! 지구와 가장 닮은 ‘제2의 지구’ 발견2015.07.25
- 452b(빨간색 원)가 지구(노란색 원)과 가장 유사한 조건을 가졌음을 보여주는 그래프. 세로축은 항성 지표면의 온도를, 가로축은 행성이 항성으로 부터 받는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낸다. - NASA 제공 케플러-452b가 온도뿐 아니라 크기가 작고 암석 구조로 이뤄져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존 젠킨스 NASA ... ...
- 손목시계만 차면 길 잃은 치매 환자 찾을 수 있다2015.07.20
- WT200은 조류독감 등을 예방하기 위해 철새에게 부착한 뒤 추적하는 장치로 크기는 가로세로 3.2㎝에 무게는 22g이다. 오차 범위는 10m 이내로 정확한 편이다. 이 장비는 SK텔레콤의 상용 이동통신망과 국제 데이터로밍시스템을 이용해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WT2 ... ...
- ‘만능 전자피부’가 나왔습니다2015.07.17
- 탄성이 좋은 탄소나노튜브로 필름을 만든 뒤 섬유 형태로 뽑아내 방충망처럼 가로세로로 섬유를 엮었다. 그리고 여기에 투명한 고무 재질 소재를 붙여 머리카락 3배 정도인 가는 전자 피부를 만들었다. 전자 피부는 10mg의 아주 작은 압력에도 반응을 나타냈고, 0.2도의 미세한 온도 변화와 2% 수준의 ... ...
- 휘어지는 아몰레드 상용화 앞당겼다2015.06.30
- 위에 탄성을 가진 고분자물질과 금속 호일을 차례대로 붙이는 방식을 적용해서 가로세로 5cm×5cm 크기의 휘어지는 아몰레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특히 밀봉 과정에서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가열이 필요하고 이때 아몰레드 성능이 저하되는데, 연구진이 사용한 고분자물질은 접착성을 갖고 있어 ... ...
- 병원체에 대한 고찰2015.06.22
- 리뷰 제공 논문 가운데 나오는 그래프가 인상적인데, 가로축은 숙주의 (면역)반응이고, 세로축은 숙주의 손상정도다. 숙주의 반응이 미약할수록 미생물에 타격을 받아 손상이 심해지고 숙주의 반응이 커질수록 면역계의 타격을 받아 역시 손상이 심해진다. 즉 ‘U’자형 곡선을 그린다. 메르스로 ... ...
- 인터넷 1000배 빨라진다…40만 배 강력한 빛 만드는 법 찾아2015.06.15
- 한 점에 모은 모습. 가로세로 4나노미터(nm)의 좁은 공간에 모인 빛의 파장이 모인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빛을 한 곳으로 모아 40만 배 더 강력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빛을 집속하는 기술 중 현재까지 개발된 것 중 가장 정밀해 물리, 화학 등 기초과학 연구자들에게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 UHD인듯 UHD 아닌 TV동아일보 l2015.06.04
- 살펴보던 박모 씨(35)는 복잡한 TV 해상도 숫자에 혼란스러워졌다. 그동안 그는 가로, 세로 화소수가 각각 3840, 2160개인 ‘4K’ 해상도만 있는 줄 알았다. 하지만 같은 UHD TV 타이틀을 달고 사실상 해상도가 2880×2160인 제품도 있어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했다. ‘K’는 1000을 뜻하는 단위(Kilo). 4K는 4000을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05.29
- 그리고 첨단기술이 만나는 현장이었다. 8시 35분, 격납고 문이 열리고 소형차 만한(가로 세로 각 2.4m, 높이 1.3m) 크랩스터가 모습을 드러냈다. 빨간색 천장에 각종 센서와 조명, 그리고 전력을 공급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검은 케이블 등이 달려 있었다. 몸체는 밀봉돼 있지 않았다. 10m 들어갈 때마다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05.29
- 수 있도록 논둑에 3m 또는 5m 간격으로 LED 전구를 설치했어요. 그런 다음 논의 가로, 세로면을 각각 x좌표, y좌표로 정했죠. 한 실험자는 x좌표 논둑, 다른 실험자는 y좌표 논둑을 이동하며 개구리가 노래하는 위치를 표시했어요. 마이크로 개구리의 노랫소리도 녹음했지요. 그 결과 두 종이 같은 논에 ...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2015.05.18
- 또 연도별로 홍역 발생건수(가로축) 홍역이 아닌 전염병에 걸려 죽은 아이의 숫자(세로축)로 점을 찍어보자 역시 양의 상관관계를 얻었다. 연구자들은 이 자료로부터 홍역으로 인한 면역저하 현상이 2~3년 정도 유지됐다는 결론을 내렸다. 벤 골드에이커는 책의 16장을 아래의 인용구로 끝맺었다.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