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뉴스
"
불
"(으)로 총 1,44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프랑스 우주산업 한 자리에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CNES)와 함께 17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에서 ‘제3차 한-
불
우주포럼’을 개최했다. 한
불
우주포럼은 한국과 프랑스 사이의 우주 분야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2016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올해는 ‘포괄적 우주협력 저변 확대’를 주제로 양국 주무부처 장관 개회 연설과 전문가 패널 토론, 비즈니스 ... ...
2050년 치매 인구 1억5200만명…"운동만이 최선의 예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5.16
위해 비타민 등 영양제를 챙겨 먹는 사람이 많은데 WHO는 오히려 비타민B와 비타민E, 고도
불
포와지방산 등은 치매를 예방하는 데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세 번째 방법은 '올바른 생활습관'이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WHO 사무총장은 "심장이 건강해야 뇌도 건강"하다며 "심장을 ... ...
화기 소음 방지용 귀마개로 총알 발사 위치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이후인 1914년 프랑스 천문학자 샤를 노르만과 의학자 루시앙
불
은 포 소리가 두 지점을 도착할 때 발생하는 시간 차이를 이용하면 포병 진지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후 1915년 25세 때 X선 회절에 관한 연구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으며 지금까지도 ... ...
차세대 배터리 원료 ‘바나듐’, 국내 매장량 얼마나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5.10
충격을 받아 전해질 사이를 막아 주는 분리막이 찢어져 양극과 음극이 맞닿으면
불
이 날 우려가 있다. 반면 바나듐이 쓰이는 차세대 배터리인 ‘레독스 흐름 배터리’는 전해액이 배관을 타고 흘러가며 이온을 나르기에 두 극이 만날 일이 없어 폭발 염려가 없다. 대형 ESS에 널리 연구되고 있는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0) 기계에게 판단하는 법 가르치기
2019.05.07
“이거나”를 통해 단순화시킨 코드를 아이는 어려워하지 않았다. 합집합 개념이나
불
대수(Boolean Algebra)를 몰라도 상관없었다.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말 “이거나”가 가진 힘이다. OR 연산을 통해 단순화시킨 코드. 한눈에 봐도 단순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순해진 만큼 아이는 코드를 쉽게 ... ...
터지지 않는 배터리 ‘전고체전지’의
불
안정 문제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성능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전지 속 전자의 흐름을 돕는 소재인 탄소 도전재를 계면
불
안정성 원인으로 꼽았다. 비정질의 탄소 표면에 존재하는 수많은 원자가 고체 전해질과의 부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 표면에 존재하는 원자가 계면 안정성을 낮추고 있던 셈이다. ... ...
[이정아의 닥터스] "조현병 환자의 강력범죄 책임 국가가 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교수)에게 물어봤다. -조현병은 치료가 가능한가? 과거 정신분열증이라고
불
렸던 조현병은 비정상적인 지각과 사고, 행동을 하는 정신질환이다. 가장 잘 알려진 증상이 환각과 환청이다. 외부 자극이 없는데도 환자의 뇌는 실제와 다른 감각을 느끼도록 활성화한다. 학계에서는 유전적인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
2019.04.25
통해서만 존재할 수 있는 학문이다. 과학이 천재들에 의해 발전한다는 건 픽션에
불
과하다다. 과학은 처음부터 협동조합과 같은 시스템을 통해서만 작동할 수 있게 만들어진 학문이다. 고독한 천재가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혼자서는 과학에 기여할 수도, 발견을 인정받을 수도 없다. 과학적 발견은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은 왜 편리한 날개를 버렸나
2019.04.24
차이가 쌓여 각기 다른 생물 집단으로 분리되고 생식적 장벽이 생겨 서로 짝짓기가
불
가능한 남남이 된다니 그들에게는 치명적 시련이 된다. 곤충은 계통적으로 진화하면서 날개 수와 크기나 가능을 조절하는 경향을 보인다. 잠자리나 하루살이처럼 독립적으로 날개 짓을 하는 경우, 벌목이나 ... ...
모세혈관 속 적혈구, 기차처럼 줄지어 경로 선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IBS)는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왼쪽) 첨단연성물질연구단 그룹리더와 올게르 시
불
스키(오른쪽) 연구위원 연구팀이 아주 얇고 긴 관에 흐르는 액체방울에서 네트워크 주기운동의 원리를 알아냈다고 24일 밝혔다. IBS 제공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