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상
파두
badawi
뉴스
"
바다위
"(으)로 총 724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진 계속… 사망자 하루새 1700명 늘어
동아일보
l
2015.04.28
[동아일보] [네팔 대지진 3900여명 사망] 이유종 특파원 카트만두 르포 “또 무너질라” 수만명 천막 노숙… 한국, 긴급구호대 40여명 파견 26일 오후 2시 55분 인천공항을 떠나 무려 30시간 만에 닿은 카트만두 트리부반 공항이었다. 평소 같으면 7시간 걸리는 거리였다. 27일 오후 5시 35분(한국 시간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갯벌 위의 신사’라는 별칭을 가진 검은머리물떼새. 우리나라를 거쳐 러시아로 날아가는 도요목 철새들은 긴 비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먹이 활동에 전념한다. - 빙기창 박사 제공 ‘피이~’ 높고 날카로운 소리가 해변을 울렸다. 소리가 나는 쪽으로 급히 망원경을 돌 ... ...
[미래를 듣는다 6] “사회 갈등 해결할 내적가치 찾아야”
2015.04.20
소설가 김진명 씨는 제3회 과총국가발전포럼에서 “사회를 통합할 수 있는 내면적인 가치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세월호 사건이 일어난 지 이제 1년입니다. 사고 발생도 어처구니가 없지만 해결 과정도 정말 어처구니 없었죠. 아직도 해결은 안 됐습니다. ... ...
“달 지질구조 생각보다 복잡”
2015.03.13
‘창어 3호’가 2013년 말 달에 착륙시킨 탐사 차량 ‘위투’. - 동아일보DB 제공 “달은 생각보다 훨씬 역동적이었다.” 2013년 12월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嫦娥) 3호’가 ‘옥토끼(玉兎)’란 뜻의 월면차량인 ‘위투’를 달 표면에 사뿐히 내려놓은 지 꼬박 1년. 위투는 달의 북서쪽 ‘비의 바다 ... ...
보글보글 공기방울에서 전기 만들었다
2015.03.03
자기유체를 통과하는 공기방울에 의해 전기가 만들어진다. - 단국대 제공 파도가 치는 해안가나 폭포수 근처에는 항상 공기방울이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하는 공기거품을 신재생 에너지로 이용해 전기를 만들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가 나왔다. 송영석 단국대 파이버시스템 공학과 교수팀은 전기가 ... ...
스테로이드의 유혹
과학동아
l
2015.03.01
연합뉴스 제공 마린보이 박태환이 도핑테스트 양성반응이 나왔다. 박태환이 복용한 것으로 알려진 네비도라는 약물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주성분이다(박태환은 약물을 복용할 의도가 없었으며 실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도대체 이 호르몬이 뭐기에 온 국민의 영웅이었던 마린보이를 ... ...
어이없는 106중 연쇄추돌 어떻게 일어났나
2015.02.15
1일 오전 인천 영종대교 상부 도로에서 서울 방향으로 가던 차량 105대가 연쇄적으로 추돌해 도로 전체가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이날 사고는 가시거리가 10m 안팎에 불과할 정도로 안개가 짙게 낀 상태에서 최초 사고 뒤 뒤따르던 운전자들이 이를 미처 보지 못하고 연달아 부딪히며 발생했다. 이 사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지구의 물을 다 모으면(맨틀에 섞여 있는 물분자는 제외) 왼쪽 위 물방울(지름 1384km)만하다. 한편 민물만 모으면 그 오른쪽 아래 작은 물방울(지름 273km) 크기이고 호수와 강만 합친 양은 그 아래 아주 작은 물방울(지름 56km) 크기다. - USGS 제공 수년 전 우연히 한 과학일러스트를 보고 감탄한 적이 ... ...
선체 함몰-기운 정도 3D 구현… 세월호 인양 여부 최종 판단
동아일보
l
2015.01.26
[동아일보] 음향측심기로 뻘에 박힌 부분 등 파악… 갑판-조타실 창문 윤곽도 드러나 유속 조사 거쳐 이르면 3월말 보고서 지난해 4월 16일 이후 9개월여 동안 바다 밑에 가라앉아 있던 세월호의 상태가 3차원 형상을 통해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이 자료는 세월호 인양 여부를 판단하는 데 쓰인다. 해 ... ...
바오밥나무와 사랑에 빠진 식물학자
2015.01.18
지오북 제공 ◆생명의 나무 바오밥 (김기중 著, 지오북 刊) 바오밥나무는 소설 ‘어린왕자’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가운데 하나다. 기자에게는 작은 행성 위에 우뚝 솟은 거대한 나무와 그 옆에 외롭게 서 있는 어린왕자의 모습이 인상적으로 남아 있다. 어린시절 기자는 바오밥나무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