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
반지
바퀴
링크
연결
루프
유대
뉴스
"
고리
"(으)로 총 1,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향하는 빛의 흐름은 좀더 강한 빛으로 표현됐고, 반대로 멀어지는 빛은 흐리게 표현돼
고리
모양은 완벽한 대칭을 이루지는 못했다. 블랙홀은 천체가 극도로 압축돼 아주 작은 공간에 큰 질량을 포함한 천체다. 우주에서 가장 빠른 존재인 빛조차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중력이 강해 어두울 것으로 ... ...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블랙홀의 강한 중력에 의해 휘어 둥글게 휘감기며 형성한, 지름 1000억 km의 약간 기울어진
고리
모양의 구조 안쪽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칠흑같이 어두운 이 공간은 내부의 빛이 빠져나오지 못해 형성된 공간으로 ‘블랙홀의 그림자’라고 불린다. 이번에 관측된 블랙홀은 마치 달걀 속 노른자처럼 ... ...
대안화폐로 떠오른 똥본위화폐 전시회에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띠 형태의 구조물이 있다. 국내환경오염 관련 데이터를 3차원으로 변환해 끝없는 오염의
고리
를 똥본위화페로 끊어내고 새로운 변화를 창출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달 7일부터 다음달 12일까지 인천 중구 인천아트플랫폼 B동에서 ‘사이언스월든 과학&예술 융합프로젝트 ... ...
노화로 인한 퇴행성관절염 발병메커니즘 찾았다
연합뉴스
l
2019.04.04
망가지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노화와 퇴행성관절염 간 직접적인 연결
고리
는 밝혀지지 않았다. 치료법도 통증 완화에 그칠 뿐 퇴행이 진행된 연골조직을 되살리는 근본적인 치료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연구팀은 노화성 연골조직과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연골조직에서 miR-204의 발현이 ... ...
염소 크기만한 티라노사우루스 사촌 발견
과학동아
l
2019.04.03
분석했다. 린지 잔노 연구원은 “티라노사우루스의 진화 과정을 설명해줄 연결
고리
를 찾았다”며 “티라노사우루스를 비롯한 공룡의 거대화 과정을 설명해줄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바이올로지’ 2월 21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2003-019-03 ... ...
포항공대-연세대 국내 첫 블록체인 캠퍼스 만든다
연합뉴스
l
2019.04.02
블록체인 분야 선도에 나선다. 블록체인은 일종의 장부인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고리
형태로 연결해 컴퓨터 여러 대에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이다. 컴퓨터 여러 대가 기록을 검증해 해킹이나 데이터 변조를 막을 수 있다. 포항공대는 4월부터 구성원 전원이 참여하는 ... ...
지금까지 이런 게놈은 없었다…컴퓨터로 디자인한 인공게놈 첫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교수는 “게놈 조각을 합성하는 일도 쉽지만은 않았다”며 “DNA 사슬이 스스로 엉키면서
고리
나 매듭을 형성하거나, DNA 분자끼리 서로 들러붙으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 결과 원래 세균이 갖고 있던 DNA 염기서열 80만 개 중 6분의 1 이상이 새로운 것으로 바뀌었다. 비트 ... ...
“토성
고리
내부 소형위성,
고리
와 다른 위성 먹고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입자가 고향으로 제시됐다. 버애티 박사는 “토성과 마찬가지로 거대 가스행성이면서
고리
를 갖고 있는 해왕성이나 천왕성도 비슷한 위성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
[뉴스룸] 유사과학과 가짜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대책은 가짜뉴스를 줄이기 위한 대책과 똑같다. 팩트 체크를 통해 사실을 밝혀 전파의
고리
를 끊는 것, 다시 부활하지 않게 사회가 합리적 비판적 태도를 키우는 것이다. 그러자면 무선이어폰 암 발생이나 음이온 건강설 같은 뉴스를 보면 근거가 있는 주장인지 먼저 살피는 태도가 필수다. 예전에는 ... ...
과학자의 그림 한 장으로 시작한 ‘WWW’ 세계를 하나로 묶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입자충돌기인 ‘대형강입자충돌기(LHC)’에서는 1조 개가 넘는 양성자가 지름 27km의
고리
모양 가속기를 1초에 1만1245바퀴의 속도로 돌며 초당 10억 번씩 충돌한다. 이때 복잡한 입자 충돌 궤적이 데이터로 나오는데, 그 가운데 일부만 선별해 기록한다. 이 과정에서 매년 만들어지는 데이터는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