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신"(으)로 총 3,4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밝혀지는 음모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우주선 곳곳에 이런 곳이 있지. 마고가 가진 정식 설계도에는 나와 있지 않고, 전력이나 통신도 우리가 스스로 구축해서 쓰고있어. 그래서 마고는 우릴 찾을 수 없지.”마침내 대장이 어떤 문 앞에서 걸음을 멈췄다.“여기서 네 눈으로 직접 확인해 보렴.”문이 열리자 우주가 보였다. 가만히 보니 ... ...
- [Career] 5G 기술로 자유를 선물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통신이었지만, 5세대는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등의 정보 전달까지 모두 아우르는 통신이어야 한다. 기존에는 전송속도를 높이는 것이 주된 목표였지만 5세대는 전송속도는 물론 짧은 지연시간*, 낮은 오류율 등 갖춰야 할 요소가 한 둘이 아니다.지연시간* 송신자가 보낸 정보를 수신자가 받는 데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직접 만들고 조종해 보는 짜릿함! 나만의 ‘드론’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블루투스는 보통 1초당 1600번 호핑하지요. 이렇게 호핑하는 전파를 기계가 인식하면 통신이 이루어진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알록달록 각자 독특한 무늬의 드론을 만들었어요. 예쁜 꽃을 가득 그려넣은 화사한 드론부터, 화려한 색으로 알록달록 폼보드를 꾸민 드론까지 각양각색의 매력이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면직 공장과 제철소가 발달했고 기차, 자동차 같은 이동 수단도 등장했죠. 이후 컴퓨터와 통신이 발달하면서 지금과 같은 도시의 형태가 만들어졌어요. 이처럼 도시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그 모습이 계속 바뀌어 왔답니다.미래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오늘날의 도시가 바뀌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 ...
-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개발됐다. 최성진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팀과 김성호 세종대 전자정보통신공학과 교수팀은 사람의 뇌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휘거나 접어도 문제 없는 하드웨어를 만들고 필기체 글씨를 구분하게 만드는 데 성공해 ‘에이씨에스 나노’ 3월 28일자에 공개했다.현재 전자기기에 쓰이는 회로는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쏘아올리는데 성공했다. 묵자호는 2018년까지 500km 상공의 우주궤도에서 지상과 양자통신을 시도한다. 판젠웨이 양자과학실험위성 수석과학자는 당시 JTBC와의 인터뷰에서 “빛의 80%가 대기를 통과할 수 있어 수 천 km까지 전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 ...
- 과학실험과 코딩을 동시에! 액션코딩 아이팝콘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사람이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뤄낸 새로운 혁명인 4차 산업혁명이 이미 시작됐다고 얘기합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사물인터넷(IoT)이나 모바일 기기로 수집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서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일이 중요합니다. 미래 세대가 꼭 갖춰야 할 능력을 기를 수 있는 ... ...
- [Career] ‘나쁜 드론’ 잡는 원스톱 제어시스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협동로봇융합연구센터장이 말했다. 문 센터장은 오대건 선임연구원 등 40여 명의 정보통신 전문가들과 함께 저고도 드론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한 융합연구를 하고 있다. 문센터장은 “우리 상공으로 들어오는 비행기가 허가된 것인지 또 약속된 시간에 이·착륙을 하는지 등을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현대의 과학으로 그것을 설명할 수 있을까? 그 원리를 이해한다면 훨씬 더 성능이 좋은 통신 장치를 만들 수도 있는 것도 아닐까? 사람의 감정을 전기나 열로 측정해서 읽어 내고 기록하는 장치를 만들 수도 있지 않을까?좀 더 깊은 단계의 문제도 있었다. 내가 비를 내리게 할 수 있다는 것은 내가 그 ... ...
- 갑자기 똑똑해진 음성인식, 그 비밀은?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언어의 장벽도 허물 수 있다. 음성인식을 결합한 자동통역 서비스 덕분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한 ‘지니톡’이 대표적이다. 지니톡은 한국어,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아랍어 등 8개국어를 지원해 2018 평창 올림픽에서 서로 상대방의 언어를 모르더라도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게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