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희생한 결과 인간은 새로운 세상을 여럿 찾아냈다. 그리고 지금에 이르러서는 일부
지역
에 한해 일반인 대상의 관광이 가능해졌다. “아마 여기까지 오시는 게 쉽지 않으셨죠? 몇 년은 대기하셨을 텐데, 기다린 보람이 있으면 좋겠네요. 자, 하이킹 출발지까지 가는 길에 간단히 설명해 ... ...
[그래프 뉴스]기후 변화로 3070만 명이 집을 잃었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뜨거운 기온과 가뭄으로 터전을 떠난 사람도 모두 7만 8000명에 이르렀어요. 전쟁이나
지역
갈등으로 집을 잃고 떠난 사람도 900만 명이나 됐어요. 이렇게 기후 변화와 전쟁 등을 포함해서 여러 이유로 거주지★를 옮긴 사람은 전 세계적으로 모두 4050만 명으로 조사됐답니다. 이중 2000만 명은 15세 ... ...
[특집] OX퀴즈! 겨울잠, 얼마나 아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주기적으로 성장이 느려진 어두운 무늬가 드러났죠. 이런 무늬는 따뜻한 남아프리카
지역
의 리스트로사우루스 화석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어요. 연구자들은 “추운 지방에 살았던 리스트로사우루스가 겨울잠을 자면서 극한 환경에 적응했을 것”이라 밝혔지요. 5. 겨울잠은 겨울에만 잔다 ... ...
1년 동안 지구에 내리는 우주먼지는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강설량이 일정하고 측정에 영향을 주는 다른 이물질이 거의 없다. 연구팀은 해당
지역
에서 입자의 지름이 30~350µ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인 우주소구체(대기를 통과하며 녹은 미세운석) 808개와 얼어 있는 미세운석 조각 1280개를 수집했다.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지구 전체에 같은 양의 ...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부분이다. 지구는 열린 자기력선 때문에 극지방이 아닌 지구자기위도 70° 내외의 고위도
지역
에서만 오로라가 발생한다.피터 델라메레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대 지구물리학연구소 교수는 “자기권을 이해하는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연구”라고 평가했다. doi: 10.1126/sciadv.abd120 ... ...
거대 갑옷공룡의 독특한 생존법 ‘땅파기’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번에 분석한 갑옷공룡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
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
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섭취하고 지하수를 마셨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98-021-83568- ... ...
선사시대 딱정벌레의 마지막 식사메뉴는 꽃가루?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번에 분석한 갑옷공룡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
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
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섭취하고 지하수를 마셨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98-021-83568- ... ...
신속PCR 쟁점 3가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민감도가 낮아 양성 환자를 음성으로 잘못 판정할 경우(위음성)다. 환자를 놓쳐
지역
사회에 감염 전파를 늘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어 위험하다. 특이도가 낮을 경우에는 실제로는 음성이지만 양성으로 잘못 나온(위양성) 환자를 다수 배출할 수 있다. 이들은 결국 다시 확진 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이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시베리아
지역
에서 멀어질수록 데니소바인의 DNA가 섞인 비율이 높다는 사실이다. 유럽
지역
에서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네안데르탈인의 DNA가 현생 유럽인들에게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다. 콕스 교수는 “현재까지는 데니소바인이 시베리아와 중국(티베트)에서만 발견됐지만, ... ...
2021 달라진 밥상 위의 물고기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이 가운데 당멸치, 일지말락쏠치, 샛돔, 독가시치를 비롯한 16종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
에 서식하던 어류였다. 연구팀은 이들 어류가 흑산도 주변 해역에서 새롭게 출현한 이유로 기후변화를 지목했다. 한반도 주변 해역 해양생태계도 달라지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해양환경공단(KOEM)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