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하다. 활성화 에너지의 크기를 바꾸면 화학반응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촉매가 바로 활성화 에너지의 크기를 바꾸는 역할을 한다. 아래 그림은 효소의 유무에 따른 활성화 에너지의 변화를 나타낸다. 효소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춰 화학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도록 한다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단백질이 순간적으로 팽창해 섬유질처럼 뻑뻑해진다. 이 방식으로는 고기의 식감을 조절하는 일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3D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면 3D 구조를 설계한 대로 콩 단백질을 쌓기 때문에 원하는 식감을 만들수 있다. 예를 들어 살코기가 한쪽 방향으로 쭉쭉 찢어진다면 닭고기, 비교적 ... ...
- [DJ CHO의 롤링수톤] 승리를 견인하는 떼창, 승리의 함성 20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현상입니다. 사람들이 동시에 박수 치려는 행동은 서로의 소리를 들으며 자신의 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나타나지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떼창하라?그래서 월드컵 경기를 보지 않더라도, 간단한 동작과 함께 응원곡을 따라 부르다 보면 노래에 푹 빠지게 됩니다. 월드컵 토너먼트 진출국이 ... ...
- [Tech] 모델명 ASUS ROG Centurion 7.1, 게이밍 헤드셋과학동아 l2018년 07호
- 1은 별도의 앰프(AMP)를 제공해 드라이버 유닛 각각의 소리와 전반적인 노이즈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그밖에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게임의 음향을 시각화할 수 있는 ‘소닉 레이더’ 기능도 신기합니다. 마치 비행기에서 레이더가 작동하듯, 화면 중간에 동그란 원이 ... ...
- [Tech] 모델명 ASUS ROG GLADIUS Ⅱ 마우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표적을 정교하게 맞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고급형 마우스는 게임에 따라 DPI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ASUS ROG GLADIUS Ⅱ 모델은 상단에 DPI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가 있었습니다.마우스의 감도를 평가할 때 ‘폴링 레이트(Polling Rate)’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폴링 레이트는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일부는 유전자에 적혀 있는 공식에 따라, 일부는 주변 환경에 따라, 장기들이 그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은 기능과 모양만큼이나 제각각입니다. 2. 피부세포가 근육세포가 될 수 없는 이유 세포 하나로 이뤄진 수정란은 몸의 여러 세포가 될 수 있는, 무궁무진한 발달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이 ... ...
- [과학뉴스] 별세포 활성 떨어지면 운동 능력은 향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PNAS)’ 4월 24일자에 발표했다. 별세포는 주로 신경세포의 이온농도를 조절하거나 노폐물을 제거한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별세포가 소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먼저 쥐에게 저해제를 먹이거나 유전자를 조작해 별세포 활성도를 줄였다. 그 결과 별세포에서 분비되는 ... ...
- [과학뉴스] ‘새 나라의 엄마’가 건강한 아이 키운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생활이 중요한 이유가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알레나 수모바 체코과학원(CAS) 신경호르몬조절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엄마의 생체 시계가 자녀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생리학저널’ 5월 10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본태성고혈압(SHR) 생쥐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곳에서는 저렴하게 통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기상 정보를 활용해 적절하게 고도를 조절하며 기구를 원하는 범위 안에 머물게 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핵심기술이다. 만약 이 프로젝트가 예정대로 실행된다면, 과학기구의 활용성과 가치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과학기구의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한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연구팀은 볼펜 꼭지처럼 잠금장치가 있어서 궤간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궤간가변 대차(바퀴에 의해 레일 위를 주행하는 부분) 기술을 2014년 개발했다. 화물용 궤간가변 대차를 개발한 건 폴란드, 스페인에 이어 세계 3번째다. 현재 러시아 철도기술연구원과 함께 성능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