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행"(으)로 총 3,2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정량 분석, 수백 나노미터 두께의 산화막에 대한 표면 분석 등을 10-9 수준의 불확도로 수행해야만 한다. 이 책임연구원은 “하나의 표준기관에서는 할 수 없는 일”이라며 “여러 나라,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컨소시엄을 이뤄 협력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아쉽게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AlN) 완충층을 먼저 쌓고, 그 위에 고품질 질화갈륨 층을 형성하기 위한 연구를 꾸준히 수행했습니다. 그 결과 1989년 아연(Zn)이나 마그네슘(Mg)이 도핑된 질화갈륨 층에 저에너지 전자빔을 쪼여주는 방법으로 p형 질화갈륨 반도체층을 세계 최초로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질화갈륨 기반 청색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정규동아리와 자율동아리 어떤 활동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제안해 직접 예비실험을 준비하고 이와 관련한 발표도 준비했습니다. 또 동아리에서 수행한 실험을 다듬어 주변의 지역아동센터나 지역 박물관, 인근 중학교, 지역사회 축제 등에서 체험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A와 B 두 학생에게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A에 비해 B는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에서 상당히 ... ...
- [과학뉴스] ‘세레스’의 유기물, 의외로 풍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카네기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무인탐사선 ‘돈(Dawn)’ 임무를 수행하며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2015년 연구팀은 세레스 북반구의 에르누테트 크레이터를 관측하던 중 가시광선 및 적외선(VIR) 분광계로 유기분자의 신호를 포착했다. 연구팀은 당시 분광계에 흡수된 빛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금 이 순간에도 생명체를 이루는 세포 안에서는 여러소기관이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세포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끊임없이 협력하고 있다. 세포는 세포막을 통해 세포 안팎으로 끊임없이 물질의 출입을 조절한다. 또한, 세포 내 정보의 흐름을 이용해 생명 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과일을 따거나, 공룡을 사냥하거나, 모닥불에서 고기를 요리하는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면 집을 세우고 농사를 짓는 등 점점 고난이도 활동을 할 수 있다. 레벨이 높아지면 다른 유저들과 만나 협동하면서 가상 사회를 일군다. 듀랑고의 가장 두드러지는 매력은 현실 세계와 흡사하게 재현한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멀리 가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 거리에 가자마자 재빨리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 빛의 속도와 경쟁해야한다는 말이다.양자역학은 확률을 예측한다. 따라서 결과는 언제나 수많은 데이터를 평균해서 얻어진다. 원자나 광자 한 개를 다루는 실험을 여러 번 하다보면 전자나 광자를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처분장으로 보내야 한다. 현재 프랑스 등에서 원격으로 재처리 시설 해체를 수행하고 있다.국내 연구진도 고성능 레이저를 단 로봇팔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팀은 현재 6kW(킬로와트) 출력의 레이저로 두께가 10cm인 스테인리스 금속을 자르는 데 성공했다. 또한 이것을 ‘실감형 원격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과학동아리 100% 활용하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3년 동안 구체적인 학교 교육활동을 예로 들어 수학·과학적 학업능력과 영재성, 탐구 수행 능력, 융합적 사고력, 리더십, 봉사심, 과제집착력을 키웠다는 등의 내용이 기술된 추천서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과학동아리가 여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미래 과학자를 꿈꾸고 있거나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제작할 수 있게 됐다. 1940년대 미 해군의 후원을 받은 미네소타대는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현대적인 과학기구의 원형을 개발했다. 초기에는 항공공학자들이 아니라 우주선(cosmic ray)을 연구하는 천문학자들이 과학기구의 개발을 주도했다. 1960년대에는 1.8t(톤)의 탑재 중량을 지구 상공 최고 3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