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로봇으로 지름 0.3mm 림프관 수술 첫 성공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필요한 1~3개월 동안 환자의 상태를 비교했다. 그 결과 림프부종의 주요 지표 중 하나인
세포
내액(ICF·intracellular fluid)의 수치가 일반적인 수술법으로 치료했을 때보다 로봇을 이용했을 때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술 3개월 후 ICF 수치는 일반 수술을 한 경우(29)에 비해 로봇 수술을 한 경우(2 ...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항원과 환자의 시료(주로 혈액)를 반응시켰을 때 항원항체 결합반응이 일어나면 환자의
세포
에 바이러스의 항체가 들어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현재 질병관리본부는 코로나19 확진 환자의 기도에서 얻은 검체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해 대량증식하는 데 성공했다. 정윤석 질병관리본부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박쥐에서 중간 숙주를 거쳐 사람에게 전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과정에서 사람
세포
에 침투할 수 있게 돌연변이가 일어났을 것이다. 한 사람 몸에 있던 바이러스가 세계로 퍼진다?영화에서 바이러스 전파는 한 사람으로부터 시작된다. 홍콩의 한 호텔 주방장은 (체내에서 재조합이 일어난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벌어지는 전기적 변화를 밝혀 전자소자에 적용한다는 의미다.우리 연구팀은 2016년 말 뇌
세포
와 시냅스의 특성을 완벽하게 모방하는 ‘플로팅게이트 멤리스터’를 최초로 개발했다. 플로팅게이트 멤리스터는 기존 멤리스터 대비 1000배 이상 높은 정확도를 기록했고, 해설(레이블)이 없는 정보를 ...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출력값 사이에 보이는 복잡한 연결망이 뭔지 궁금하다고요? 사람의 뇌가 뇌
세포
의 복잡한 연결망으로 이뤄진 것처럼 딥러닝이라는 함수도 단순한 함수가 아닙니다. 많은 함수로 연결된 일종의 ‘합성함수’라고 할 수 있죠.y=ax+b라는 함수와 z=cy+d라는 함수가 있다고 가정할게요. 두 함수는 개별적인 ... ...
[과학뉴스] 2600년 된 뇌, 썩지 않은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추정했답니다. *용어정리자가분해 : 생물이 죽은 뒤 자신을 구성하고 있는 조직의
세포
를 스스로 소화 시키는 현상. 조직이 갖고 있는 효소의 작용으로 분해된다 ...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결합 능력이 달라지는데, 가령 사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의 ACE2 수용체를 통해
세포
를 감염시키고 바이러스가 수용체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RBD의 479번째와 487번째 아미노산이 보존돼있어야 한다.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나 백신을 개발하는 인간 입장에서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이런 특징을 ... ...
[만화뉴스] 뼈가 부러졌다고? 반창고 붙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직접 붙여 골절을 빠르게 치유하는 반창고를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2014년 모든 동식물의
세포
에 존재하는 아데노신이 뼈 성장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뼈가 부러졌을 때 아데노신의 농도가 일시적으로 높아지는데, 농도를 계속 유지한다면 뼈가 더 빨리 치유될 수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페닐에틸아민이 흡수돼 뇌로 전달되는 건 거의 불가능한 일입니다. 뇌 혈관을 둘러싼
세포
층인 뇌혈관장벽(BBB)이 있어 포도당이나 산소 같은 뇌에 필요한 극히 일부 물질을 빼고는 뇌에 바로 전달될 수 없으니까요. 초콜릿을 먹고 기분이 좋아지는 진짜 이유는? 그렇습니다. 결국 당 때문입니다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그런데 이와 반대로 면역관문수용체의 작용을 촉진해도 면역
세포
인 T
세포
가 활성화돼 암
세포
를 사멸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수용체의 작용을 촉진하는 작용제를 선별하기 어려워 항암제 개발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예 교수는 “자가분비기반 항체 선별 기법을 이용하면 면역관문수용체의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