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상"(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삼각형으로 둘러싸인 n차원 구 문제 g-추측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따라서 꼭짓점의 수 f0은 2개로 2입니다. 4차원 단체 구 만들기 이제 4차원 공간을 상상해 봅시다. 4차원 공간의 ‘구’ 역시 한 점에서 같은 거리 떨어진 점들로 이뤄집니다. 이 구를 잘 움직이고 구부리고 나눠 다면체로 만들어봅시다. 이때 모든 ‘조각’을 가장 ‘단순한’ 형태로만 ... ...
- Part 4. 인터뷰 - 저 멀리 ‘개토피아’를 찾아서! 언더독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보이는 품종이 필요했거든요. Q 다양한 동물들의 입장에서 영화를 만들려면 상상력이 많이 필요할 것 같아요. 시나리오가 안 풀릴 땐 닭이나 개를 보러 양계장이나 유기견보호소에 갔어요. 답답한 마음에 “살기에 어떠냐, 불만은 뭐냐, 다른 개랑 충돌은 없냐” 물어보고 싶었는데 얘네가 말을 못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생각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행동을 하려면 반드시 생각을 할 수 있어야만 한다고 믿으니까요. 자, 이번엔 엉뚱한 상상을 한번 해 볼까요? 평소 친하게 지내던 친구가 자신은 사실 외계인이 보낸 로봇이라고 고백한 거예요! 여러분은 친구가 살과 뼈, 단백질과 유전자로 이루어진 사람이 아니라, 기계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에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구현한다는 점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제임스 캐머런 감독의 전작인 영화 ‘아바타’는 상상이 가미된 형태이지만, ‘알리타’의 경우 눈이 좀 크다는 점을 제외하면 사람하고 똑같습니다. 동작이 조금이라도 어색하면 관객들이 금방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죠.” 화려한 영상미로 무장한 영화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것이 자연스럽게 보일 것 같습니다. 안테나 같은 부품은 사람에게 없는 기능이기 때문에 상상력을 발휘해서 배치해야 합니다. 이렇게 공간을 고려하면서 수많은 전자 부품을 몸통 안에 배치하고 나면 이 부품들을 잘 보호할 수 있도록 몸통 프레임을 설계해야 합니다. 프레임은 역할에 따라 때로는 ... ...
- [전지적 수학 시점] 마인크래프트, 논리로 만드는 전기 회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마인크래프트를 이용해 교육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어요. 게임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 논리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고 하니 여러분도 즐겨보세요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렇게 바뀌었으면 좋겠다’라는 문제의식을 느끼려면 세상에 무엇이 필요한지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인문학적 소양이다. 두 번째는 해결하고 싶은 문제를 찾았을 때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논리성이다. 무모하거나 허황되지 않은 선에서 찾은 문제를 논리적으로 풀어가기 ... ...
- 나도 스토리 어드벤처 게임 디자이너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스토리 어드벤처’ 게임을 직접 만들어 봤습니다. 게임카페 참가자들은 각자 상상한 이야기로 게임을 디자인하고 프로그래밍했지요. 지금 바로 그 현장으로 가시죠! 동물원에 동물이 갇혀 있습니다. 어느 날 동물은 동물원을 탈출하기로 마음을 먹지요. 마침내 동물원을 탈출한 동물은 마을과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의 아름다움을 아이들과 나눈 니콜 스탓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들어왔던 아이들은 누가 봐도 지치고 피곤한 표정이었다. 그런 아이들이 우주에 대해 상상하고 본인들이 그린 그림이 우주복으로 제작된다는 사실을 알고는 함박웃음을 지어보였다. 대여섯 살 어린이부터 고등학생까지 병원학교를 가득 채운 모습에 ‘우주는 누구와 함께 하든 희망과 꿈이 되는 ...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교수가 생각하는 수학자의 자질은 7년 동안 한 문제에 몰두한 수학자답게 지능이나 상상력이 아닌 ‘자기 연구 분야를 사랑하는 것’이다. 매일 일어나서 똑같은 문제를 풀고 다시 자고 일어나 풀기를 반복하려면 연구 분야를 사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수학을 전공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한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