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별 우주 기네스] 가장 가까운 별과 가장 먼 별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빛의 속도로 약 8분 19초’이지요. 네? 거리를 나타내야 하는데 웬 빛이냐고요? 별과 별 사이의 거리는 어마어마하게 멀어서, 지구에서 쓰는 km와 같은 단위로는 나타내기 어려워요. 그래서 ‘빛이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표현하지요.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멀리 떨어져 있는 거예요. 빛은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뜻해요. 용액이 얼마나 산성, 염기성을 띠는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0에서 14 사이의 숫자로 나타내지요. 25℃, pH7(중성)을 기준으로 pH가 7보다 작을수록 산성을, 클수록 염기성을 띤다고 구분할 수 있습니다. pH에서 숫자 1의 차이는 수소 이온의 농도가 10배 차이남을 의미해요. 그래서 pH6인 용액은 ... ...
- [조합론과 만나다] “수학자에게 공동연구는 필수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구실이 필요했거든요. 그때부터 스텀펠스 교수님과 친해지게 됐습니다. Q. 수학자들 사이에 ‘허준이 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글씨를 예쁘게 쓰시는데요. 글이나 글씨를 잘 쓰는 것이 수학 연구에 어떤 도움이 되나요? 수학이 소통의 한 형태이고, 글쓰기는 인류가 발명한 가장 복잡한 형태의 ...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①] 고래가 크릴을 먹어치우듯 지식 먹방러 허준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있나 싶은데, 그렇게 가족과 있는 시간에는 온전히 가족에 집중하고, 아들이 학교 간 사이에 공부하고, 또 새벽에 혼자 일어나 공부합니다. 예전에 허 교수가 자신의 전성기는 막내를 대학에 보낸 뒤에야 올 거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허 교수의 필즈상 수상은 수학자로서 끝이기보다는 시작일 ... ...
- 전격 분석! 필즈상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훨씬 적어요. 또 연구를 격려하는 의미로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이다 보니 수학자 사이에서도 알려지지 않았어요. 그러던 1966년 필즈상을 널리 알린 사건이 벌어집니다. 1966년 8월 27일자 1면에 스티븐 스메일 당시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교수가 러시아 세계수학자대회(ICM)의 ...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교수(Y)는 ‘GPY 체 법’으로 불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 소수들 사이의 간격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 셀버그 체 이론을 바탕으로 특별한 형태의 합을 고안했습니다. GPY의 업적은 놀랍게도 2013년에 장 교수와 메이나드 교수에 의해서 많이 개선됩니다. 장 교수는 GPY 체 법에 적용할 수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이해하느냐’입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0 혹은 1로 세상을 이해하지만 실제는 0에서 1 사이에 무수히 많은 수가 존재하지요. 그래서 컴퓨터는 실수를 계산할 때 0과 1로 나타낼 수 있는 근사치로 계산합니다. 하지만 근사치로 계산할 때, 어떤 숫자가 계산이 가능하고 불가능한지를 따지는 것은 ... ...
- [논문탐독] 다양성과 혁신이 이끄는 도시의 진화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네트워크 과학 덕분이죠. 네트워크 과학은 복잡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방법입니다.그동안 네트워크 과학을 접목한 도시 연구는 교통에 국한돼 왔습니다. 도로를 어떻게 배치해야 차가 덜 막힐지 등을 연구하는 데 네트워크 과학이 쓰였습니다. 최근에는 네트워크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우주선 타고 지구에서 토성까지 자기부상 우주왕복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선로의 위쪽과 열차의 아래쪽에 자석 장치를 설치해요. 둘의 같은 극이 마주 보게 해 둘 사이의 반발력으로 열차를 직접 띄우지요. 반면에 ‘흡인식’은 인력을 이용해요. 열차의 자석 장치를 선로 밑까지 연장해 설치하고, 선로의 자석 장치도 위쪽이 아닌 아래쪽에 설치하지요.(위 그림) 그런 ... ...
- 정수론 만능 열쇠로, 고차원 케플러의 추측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고차원에서도 피라미드형 공 쌓기를 고려할 수 있는데, 차원이 높아지면서 공 사이의 빈 공간이 커져 8차원에서는 같은 크기의 공을 빈 공간에 꼭 맞게 끼워 넣을 수 있게 됩니다. 다른 예로는 1960년대 영국 수학자 존 리치가 24차원에서만 가능한 대칭적이며 효율적인 공 쌓기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