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관측 프로그램 286개를 선정해 발표했다. 관측 프로그램은 은하, 초대형 블랙홀 등 총 8개 분야로 나뉘어 있으며, 관측 내용에 따라 1주기에 주어진 6000시간의 관측시간을 나눠 쓰게 된다. 1주기 JWST 관측 프로그램 중 하나에 연구책임자로 참여하는 서혜원 미국 국립광학및적외선천문연구원 ... ...
- [SF소설] 대합창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귀를 기울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방법도 나쁜 방법은 아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분야에서 과학 연구에 대한 가장 좋은 의견을 자주 들을 수 있는 곳은 연구원들이 점심 먹으러 가는 길이다.“이번에 잡힌 R426은 큰 거 잖아요. R426을 잡았는데 그냥 손 놓고 다른 걸로 넘어간다고요?”“할 수 ... ...
- “가장 먼 퀘이사에서 온 어두운 빛 검출을 기대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미칩니다. 이렇게 방대한 시간, 공간 규모가 엮여 있는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면, 분야별 전문가들의 연구를 듣고 다양한 시각에서 자연을 관찰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눈을 감고 코끼리를 만지더라도 여러 명의 관찰자가 필요한 셈이죠. 그중에는 불완전한 해석도 있겠지만 모형과 현상의 ...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협력을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는 없는 실정이고 진전이 있었던 분야도 거의 중단된 상태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북한이 국가 봉쇄를 결정하면서 협력의 문은 더욱 좁아졌다.최 책임연구원은 “코로나19 팬데믹 전에 중국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에서 ... ...
- [과동키즈] 모두가 함께할 지구를 위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사람들이 아직 많은 것 같다. 하지만, 실제 개발협력 현장에서는 생각보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필요로 한다. 특히 환경공학은 개발협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요소다. 깨끗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처리 시스템 구축,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산림조성, 대기 질 개선 등 ... ...
- [잡터뷰] 미래 모빌리티 앞당기는 자율주행 자동차 플랫폼 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이들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분야 중 하나다.“자동차 플랫폼에는 다양한 분야가 있습니다. 내구성 평가, 안전성 향상 등에도 플랫폼 연구가 필요하죠. 저는 자율주행 구현을 위한 경로 계획(path planning)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으로 세우는 경로 계획경로 계획은 자율주행 ... ...
- [기획] 확 달라질 폴리매스! 2022년을 기약하며…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확률론 등 다양한 분야의 수학자들과 협업해 문제를 해결하곤 한답니다. 반대로 제 분야가 다른 수학자들의 연구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지요. 하지만 학생들은 대부분 수학을 학교나 학원에서 공부하다 보니 보통 혼자서 문제를 풀게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협업하는 방법도 익숙하지 않고요. ... ...
- 평양의 과학도에게 직접 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북한은 어렸을 때부터 인재를 키워 필요한 인력으로 사용하는 데 익숙합니다. 컴퓨터 분야의 특목고에 해당하는 금성학원, 금성 제1중학교 등에서 컴퓨터를 집중적으로 가르칩니다. 3대 명문대에 이 친구들을 위한 특화대학을 설치해 2년만에 졸업할 수 있는 시스템도 도입됐습니다.앞서 말한 것처럼 ... ...
- [인터뷰] "여성 과학도들이여, 끈질기게 버텨라”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세계 최고 수준과 비교해 한국의 위성 기술은 약 10년, 발사체 분야는 그 이상 차이난다고 알려져 있다. “후발 주자지만, 지금이라도 시작하지 않는다면 후세대들은 더 뒤쳐질 거예요. 많은 과학도, 특히 여성 과학도들이 더 도전했으면 좋겠어요. 카이스트 학부생 시절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씹고 뜯고 맛보며 즐기는 수학의 매력을 알려드릴게요!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절반은 철학자이고, 모든 철학자의 절반은 수학자다’라고 말한 것처럼, 철학 등 여러 분야와 함께 탐구할 때 수학의 진정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거로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지금까지 그래왔듯 더 많은 사람과 이를 나눌 예정입니다. 2022년부터는 최 작가가 연재하는 수학 기사를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