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각
시력
과시
나타내기
d라이브러리
"
보이기
"(으)로 총 851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행 "인터넷이 무서워"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인터넷을 통한 거래가 조금씩 그 가능성을
보이기
시작하고, 인터넷 거래만을 전담하는 ‘사이버뱅크’ 등이 나타나자 기존 은행들은 딜레마에 빠져 있다. 전통적으로 은행은 거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폐쇄 전산망을 사용할 뿐 인터넷처럼 ‘열린 네트워크’와 연결시키는 것을 피해왔다.미국의 ... ...
인류의 15%, 일생에 한번은 우울증에 빠진다.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보이는 증상들은 사람에 따라 매우 다양해서 얼핏 보면 마치 동일한 질병이 아닌 것처럼
보이기
도 한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울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염색체 이상 발견우울증의 발생 원인에 대해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다. 정신분석 이론에 ... ...
1. 컴퓨터로 즐기는 소리탐험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비싼 컴퓨터가 단지 오락기구가 아닌 훌륭한 학습교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이기
위해 소리나라로 탐험을 떠나보자. 소리를 눈으로 보려면어떤 노래방 프로그램에는 노래소리에 맞춰 화면이 파도와 같이 출렁거린다. 소리의 강약에 따라 그 출렁거림의 정도도 달라진다. 때로 이것이 ... ...
머리카락도 안보인다 첨단기술도 속수무책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왜냐하면 mm파의 세계에서는 플라스틱이나 축축한 땅, 그리고 잔디가 모두 비슷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아직 이 카메라는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밀리미터영역에서 감지할 수 있는 방사선의 양이 미약하다는 단점이 있다.이런 단점들은 각 물체간의 온도 차이를 감지할 수 있는 ... ...
홈소프트웨어와 인터넷의 결합 교육정보화 완성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오히려 두려움이나 거부 반응을
보이기
도 한다.일반인이 바로 인터넷을 활용하기 어렵게 하는 요소중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는 것은 대부분의 정보가 영어로 돼 있는 것에 따른 언어 장벽이다. 인터넷을 보면서 영어를 바로 한글로 번역하여 ... ...
아마추어 천문 가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됐다. 오리온은 지금도 전갈이 두려운지 전갈이 서쪽 하늘에 질 무렵에야 동쪽 하늘에
보이기
시작한다.전갈자리에서 망원경으로 볼 만한 것은 M6과 M7이다. M6은 나비처럼 생겼다고 해서 나비성단(Butterfly Cluster)으로 불린다. 나비성단은 전갈의 꼬리 부분인 람다(λ)별에서 북쪽으로 5°정도 떨어진 ...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한다.백내장으로 실명된 환자 눈은 흔히 검은자위 속에 있는 동공부분이 희게 혼탁돼
보이기
때문에 백내장이란 병명을 붙었다.백내장은 실명을 유발하는 눈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질환인데,최근에는 기술과 장비의 발달로 거의 100%에 가까운 수술성공률을 보이고 있다.일단 백내장으로 진단되면 ... ...
3. 통증을 정복한다 : 마약, 그 뒤에 숨은 이야기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갖게 된다.이 약물은 한 가지 약효를 내는 것은 아니고, 사람의 상태에 따라 환각 증세를
보이기
도 한다. 흥분제는 반드시 치사량에 이르러야 사람이 죽는 것은 아니다. 보통 쓰는(?) 양에서도 심장발작이나 발작성 고혈압 또는 고열증 따위로 급사할 수 있다. 동물 마취제도 사용환각제에 속하는 ... ...
빛에 따라 색깔 바뀌는 스마트 글라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때문에 순간전력만 필요하다. 그리고 액정화면은 각도에 따라 화면이
보이기
도 하고 안
보이기
도 하는데, 스마트글라스는 유리 자체의 색깔이 변하기 때문에 보임각도가 크다. 유리를 수직으로 세울 필요가 있을 때, 액정화면은 액체를 채용하기 때문에 액제가 중력을 받아 균일하게 도포할 수 ... ...
'인공생명'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보다 실제적인 현상과의 연결을 추구해 눈의 결정체와 유사한 아름다운 눈송이를 만들어
보이기
도 했다.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인공생명 연구는 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됐다. 1987년 미국 로스알라모스에서 인공생명과 관련된 첫 학술회의가 개최된 이후 세계 각지에서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