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몸의 아무 곳에서나 인공췌장을 투여하면 기능 발휘에 별 문제가 없다. 예를 들어
배양
한 췌장세포를 직접 복강 내에 주입하면 췌장세포는 몸 속을 돌며 체내상황에 맞게 인슐린을 분비한다. 이때 몸의 면역세포가 췌장 세포를 '적'으로 간주해 파괴시키는 일을 막기 위해 보호막(고분자화합물주머니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뼈·연골·관절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맺고 있다.최근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 분야에서는 환자의 연골세포를 체외에서
배양
, 연골조직으로 만들어 다시 환자의 손상부위에 이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환자의 다른 연골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세포만 채취해 사용하므로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첨단의 ... ...
빵 반죽·발효·굽기의 3박자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만든 현미경으로 최초로 이스트균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것을 계기로 이스트균의 분리
배양
이 가능해지고 빵 발효에 이용할 수 있게 됐다.이스트(Saccharomyces cerevisiae)는 엽록소가 없는 단세포 식물이다. 식물학상 곰팡이류에 속하지만 균사체가 없기 때문에 곰팡이와는 구분된다. 폭 0.004-0.006mm, 길이 ... ...
Ⅲ. 피라미드가 대장균 없앤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우리나라의 삼태극 도형과 최근 일본에서 개발된 데와 히데오의 도형 위에 대장균을
배양
하면서 피라미드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했다.삼태극의 경우 태극의 회전방향과 빨강, 노랑, 파랑 삼배색 순서를 달리하면 4종류의 조합이 이뤄진다. 단순히 색깔이나 문양, 모양이 다른 점이 어떤 영향을 ... ...
프로톤로켓 마지막 점화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그 밖의 목적을 위한 물질을 가해 만든
배양
기방사선이 생물체에 미치는 작용을 결정하는 흡수선량의 단위 방사선의 종류에 따라 같은 흡수선량이라도 생체에 미치는 실제적인 작용은 일정하지 않다 이 때문에 X선이나 γ선을 기준으로 하는 각종 방사선의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입자로서, 반드시 세균과 같이 살아 있는 세포에서만 기생하고 증식하며 인공적으로는
배양
할 수 없는 것 세균여과기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병원체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 ...
손상된 뇌조직, 자신의 면역세포로 고친다?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중추신경계에는 대식세포가 없다.쉬바르츠 박사는 쥐의 혈액에서 대식세포를 분리해
배양
한 후 이를 손상된 시신경에 이식했다. 그러자 어류나 양서류의 경우와 비슷한 효과가 나타났다.그러나 실험에 사용된 것은 죽은 쥐였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이런 작용이 일어날지 아직 알 수 없다. 또 ... ...
96화성탐사 퍼레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실험미생물에 의한 호흡결과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화성 토양을 대기와 함께 채워
배양
한다. 그런 다음 정기적으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해 화학조성의 변화를 살펴본다. 만약 메탄이나 이산화탄소가 증가한다면 호흡하는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증거다. 그러나 이 실험 역시 성공을 거두지는 ... ...
애즈택 여왕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마무리 일단 야외에서 대략적인 생활사가 밝혀진 다음에는 그들을 실험실에서
배양
하면서 관찰할 필요가 있다. 개미는 실험실에서 웬만한 수준의 환경만 제공하면 잘 자라고 그들이 자연환경에서 보이는 거의 모든 행동을 거침없이 보여준다.거의 4백마리나 되는 여왕개미를 채집해 하버드대학 ... ...
동맥경화 해결사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일부 바꾼 심바스타틴의 신약허가를 신청중이었다. 로바스타틴은 그 자체가 미생물
배양
액에서 나온 것이고, 이것을 실마리로 좀 더 나은 약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가 이미 진행됐던 것이다. 심바스타틴은 로바스타틴보다 좀 더 효능이 좋았다. 결국 1988년 심바스타틴도 발매허가를 얻었다.이 단계에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