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화
정신문명
물질문명
개화
교양
문화도
근대화
d라이브러리
"
문명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왔고 이를 통해 새로운 미개척지를 찾아가면서
문명
을 발전시켰다. 그렇다면 인류
문명
의 역사 속에서 10억분의 1이라는 나노 미개척지를 열게 해준 뿌리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눈으로 볼 수 있는 영역에서 한참 아래인 나노세계. 이를 열기까지 기술은 어떻게 발전돼 왔을까. 가장 원초적인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문화와 의학의 발전은 인류로 하여금 자연선택의 법칙을 초월하도록 허락했기 때문이다.
문명
이 싹트기 전에는 추위에 잘 견디는 사람이나 힘센 사람 또는 남보다 뛰어난 사고능력으로 상황판단을 잘 하는 사람이 살아남아 자손을 남겼다. 그러나 현대의 인류에게 선천적인 육체적 능력이나 사고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칭송을 받던 과학자라 하더라도,지금 우리의 상식을 벗어난 사람도 많다.현재 과학
문명
을 이룩하기까지 노력한 지난 시대의 엽기과학자들을 만나보자.에라토스테네스(기원전 276년경-194년경)는 처음으로 지구의 둘레를 계산해 유명한 그리스의 천문학자다. 그는 이 연구를 위해 이집트의 ... ...
왜 과학자는 과거 기후를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건강한 환경을 물려줄 수 있도록 이제부터라도 신경을 써야 될 것이다. 기후변화는 또한
문명
의 흥망과 쇠퇴, 인류의 진화 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현재로는 미래의 기후가 어느 방향으로 갈지, 그리고 급격한 기후가 바뀌는 시기가 언제인지는 초보단계에 있다. 기후의 자연적인 주기에 ... ...
마취 없이 두개골 뚫어 뇌수술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선사시대 두개골 중에는 의문의 구멍이 뚫린 것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페루의 고대
문명
지에서도 구멍 뚫린 두개골이 발견됐다. 이같은 두개골이 처음 발견된 것은 1870년의 일이다. 수술에 익숙치 않았던 당시의 의사들이 얼마나 놀랐을지를 상상해보라.현대의 환자들은 대부분 정신없이 ... ...
올리브 짜는 기계 응용한 최초의 인쇄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중세의 암흑시대를 마무리짓는 계기가 됐다. 곧이어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결국 현대
문명
이 유럽에서 일어났으므로 서양인들이 구텐베르크의 인쇄기 발명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정하는 일도 무리는 아니다.인쇄장치 개발에 게을렀던 고려금속활자는 구텐베르크보다 2백년 앞서 고려시대에 이미 ... ...
1. 1백만달러 현상금 걸린 유체방정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수학의 개발 부진은 여타 학문의 발전을 가져올 수 없었고, 자연과학을 기초로 하는 산업
문명
의 낙후를 초래했다. 수학 발전에서 뒤짐으로써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동양의 몰락은 예고된 것이었다.미래는 과학의 시대다. 단순한 한가지 분야의 이해로 기술개발이나 학문발전이 이뤄지는 것이 ... ...
3. 복잡성 속 숨은 질서 찾는 확률과 통계 우주선 예비부품 몇개가 필요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이처럼 인류는 아득히 먼 옛날부터 수학적 원리를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이용해서
문명
을 발전시켜 왔다. 하지만 수학으로 세상을 표현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여기서 잠시 아인슈타인의 말을 음미해보자. “수학적 규칙이 실제 상황을 의미할 때 그 규칙은 불확실하며, 규칙이 확실할 때 그것은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놀랄만한 정밀함이 당시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하면서 수만년 전에 외계인이 지구에
문명
을 일으키면서 피라미드를 건설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펜스 교수의 이번 결과는 이런 주장을 반박하는 중요한 증거다. 또한 파라오의 연대기를 바탕으로 추정한 기존의 건축연대가 크게 틀리지 않았음을 ... ...
수술중 환자 사망하면 의사 손 잘라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불균형과 인간이 살고 있는 환경의 이상으로 발생한다는 주장이었다.그러나 바빌론
문명
은 히포크라테스가 살던 시대보다 훨씬 앞선 시기였으므로 ‘질병은 신이 내린 벌’이라는 생각이 팽배해 있었다. 바빌론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신이었던 마르두크의 아들 나부가 의학을 포함한 모든 기예를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